OECD 최고 수준의 한국 대장암·위암 진료

OECD ‘국가별 보건의료 질 수준’ 분석…다제병용·항생제 처방은 관리가 필요한 한국의 대장암위암 진료 수준이 OECD 회원국 가운데 최고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5개 이상의 약을 만성적으로 복용하는 75세 이상 환자의 비율로 정의되는 다제병용처방률은 OECD 7개국 중 가장 높아 관리가 필요하며 외래 항생제 처방량은 OECD 평균보다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보건복지부는 OECD가 발표한 국가별 보건의료의 질 수준을 분석한 결과를 이같이 밝혔다.

[암치료] 5년 순생존율로 본 한국의 암 진료 수준은 대장암 71.8%, 직장암 71.1%, 위암 68.9%로 OECD 회원국 중 가장 우수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폐암 환자의 5년 순생존율(25.1%)은 OECD 회원국 평균(17.2%)보다 높고 급성 림프모구 백혈병은 84.4%로 OECD 평균(83.7%)보다 약간 높은 수준이다.

[급성기 진료] 2017년 허혈성 뇌중풍(뇌졸중)으로 입원한 환자(45세 이상)의 30일 치명률은 3.2%로 OECD 평균 7.7%에 비해 우수한 수준이었다. 30일 치명률은 입원 시점 기준으로 45세 이상 급성기 환자 중 30일 이내에 사망한 입원 건수의 비율로 급성기 진료의 질을 반영하는 대표적인 지표다.

급성심근경색증의 30일 치명률은 2008년 이후 감소했으나 2016년 9.6%로 OECD 평균 6.9%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만성질환] 만성질환 가운데 천식과 당뇨병으로 인한 입원율은 각각 인구 10만명당 81.0명, 245.2명으로 OECD 평균보다 높았다.

다만, 만성 질환의 입원율은 2008년 이후 전반적으로 감소하고 있어, 만성 폐색성 폐질환의 입원율은 OECD 평균에 근접하고 있다.

[외래약제 처방]외래약제 처방 수준은 △다제병용 처방 △오피오이드 처방 △항정신병약 처방 △항생제 처방 △당뇨병 환자 처방 △벤조다이아제핀 계열 약물 처방으로 측정된다. 다제병용, 오피오이드, 항정신병약처방에 관한 자료는 올해 처음 수집됐다.

5개 이상의 약을 만성적으로 복용하는 75세 이상 환자의 비율로 정의되는 다제병용처방률은 2017년 기준으로 한국이 68.1%로 통계를 제출한 7개국(평균 48.3%) 중 가장 높았다.

마약성 진통제인 오피오이드의 총 처방량은 0.9 DDD(Defined Daily Dose)/약 처방 인구 1,000명/일로 터키 다음으로 처방량이 적었다. 한국은 엄격한 마약 규제와 관리, 마약이라는 용어에서 오는 거부감 등으로 처방량이 낮게 나타나고 있다.

65세 이상 환자의 항정신병약 처방률은 약제 처방 인구 1000명당 36.2명으로 통계를 제출한 16개국 중 처방률이 낮은 나라에 포함된다.

[항생제] 2017년 한국의 외래 항생물 질량은 26.5DD/1,000명/일로 OECD 평균(18.8DD/1000명/일)보다 높았다. 2011년 이후 꾸준히 증가세를 보이다가 2017년에는 다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광범위 항생제에 해당하는 세파로스포린과 퀴놀론 항생제 처방량은 전체 항생제 처방량의 34.5%를 차지해 OECD 평균(18.8%)보다 높은 수준이지만 2012년 이후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당뇨병] 당뇨병 환자의 약제 처분의 적정성은 1차 선택 항고혈압제와 지질저하제 처방률로 측정된다.

고혈압이 동반되는 당뇨병 환자의 당뇨병 신증 위험과 다량 알부민뇨증 진행을 늦추기 위한 1차 선택 항고혈압제 처방률은 78.0%로 OECD 회원국 평균(82.9%)보다 낮지만 증가 추세다.

당뇨병 환자의 심혈관계 질환 예방을 위해 진료지침은 지질저하제 처방을 권고하고 있으나 한국은 당뇨병 환자의 약제 처방 수준이 2011년 44.1%에서 2017년 67.4%로 23.3%p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벤조지아제핀계 약물]최면 진정제인 벤조지아제핀계 약물은 65세 이상 환자가 장기간 복용하면 인지장애, 전도 등 부작용 발생 위험이 높아지고 주의해야 하는 약물이다.

벤조디아제핀을 장기간 처방받은 환자는 65세 이상 약제처방 인구 1,000명당 10.1명으로 OECD 회원국 평균(33.9명)보다 낮았다.

벤조지아제핀계 중 장기작용 약물을 처방받은 환자는 65세 이상 약제처방 인구 1,000명당 146.3명으로 OECD 회원국 평균(52.0명)보다 많지만 2011년(241.5명)보다는 감소했다.

[환자 경험] 2018년의 의료서비스 경험 조사를 토대로 외래진료 환자의 진료 경험을 측정한 결과, 의사의 진료 시간이 충분했다고 응답한 비율은 80.8%로 나타났다. 의사가 이해하기 쉽게 설명했고 진료치료 결정 과정에 참여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각각 82.9%, 82.4%였다.

[정신보건] 조현병 환자의 초과사망률은 4.42, 양극성 정동장애 환자는 4.21로 OECD 회원국 평균(각각 4.0, 2.9)보다 높았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