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정 재구성] 5학년 2학기 과학 | 4. 물체의 운동 심화 수업 | 자율주행 자동차에 관한 딜레마 토론 (국어/도덕 연계)

5학년 2학기 과학은 정말 재구성하고 싶은 다음 시간이 많다. 그리고 적절히 재구성할 수 있는 것도 초등학교 교사의 전문성이 아닐까 싶다.

<4단원. 물체와 운동> 적용 다음은 ‘스마트 기기를 이용해 우리 학교 안내 지도 만들기이다.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해 위치, 이동 거리를 파악하고 학교 내 주요 장소와 이동 경로를 조별 지도로 만드는 것이 본래 시차다. 구간별 이동거리, 이동시간을 찾아 지도 위에 속력까지 표현하면 완성이다.

그런데 사실 이 시간이 너무 마음에 들지 않았다. 우선 4단원에서 GPS를 이미 활용한 전적이 있다. 실험관찰본에 ‘학생 집에서 학교까지 오는 거리와 시간을 지도 프로그램을 활용해 써보기’ 활동이 전 시간에 있었다. 또 GPS를 활용한 주요 건물 그리는 방법, 건물 간 이동거리와 속력 구하기가 <물체의 운동> 단원 빅아이디와 연계될지도 불투명하다. 마지막으로 코로나19 악화로 인해 단체학습, 학교 내 이동이 매우 제한된 상황에서 해당 시간이 부적절해 보였다.

위와 같은 이유 등으로 서서히 불만을 가지고 어떻게 적합한 활동을 만들어낼지 고민하던 중 그 다음 페이지에서 해답을 찾았다.

이거야…! 실생활과의 연계를 높이기 위해 자율주행차를 주제로 설정하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코로나19로 인해 단축된 수업시간인 30분간 하기에 적합한 것을 고민한 끝에 결국 국어 교과 토론과 연계해 보는 게 어떨까 하는 아이디어가 떠올랐다. 실제로 2016~2018년 자율주행차 도로주행 테스트 중 사망사건이 있었다는 뉴스를 본 적이 있었으니 아이들에게 이것도 전해줬으면 하는 생각이었다. 그리고 학부 시절 배운 딜레마 토론까지 합쳐 과학+도덕+국어교과 간 연계를 이룰 수도 있을 것 같았다. 의미있는 수업이 될 것 같아 바로 자료조사에 들어가 수업을 만들었다.

혹시 교통사고 전적이 있는 학생에게는 트리거가 되어 본의 아니게 학생들을 괴롭히지 않을까 했는데 다행히 우리 학년에는 교통사고를 크게 당한 학생이나 학생 가족이 없는 것 같았다. 내 게시글을 보고 수업을 참고하고자 할 때 이런 트리거에 대해 생각해줬으면 좋겠다. 그리고 만약 관련 학생이 없다고 해도 이 모든 상황이 가상 상황이라고 말해 주고, 만약 불편하고 힘든 학생이 있다면 꼭 교사에게 말해달라고 부탁해보자.

ppt 템플릿은 참 선생님의 콘텐츠 스쿨에서 내려받았다. 학교 교육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동기 유발로는 ‘미래를 타게 될 자동차’를 떠올리게 하며 자율주행차 시대의 도래를 암시했다. 최근 자동차도 자율주행 모드가 장착돼 있어 학생들도 어느 정도 예상은 하고 있었다.

학습목표와 학습순서는 최근 반드시 제시하고 있다. 수업에 대한 로드맵을 미리 제시하여 수업 흐름 파악에 도움이 된다.

우선 아이들이 딜레마라는 단어에 대해 잘 모르는 것 같아 ‘딜레마’라는 말의 의미부터 지적했다. 아이들은 사전적 정의를 들어도 이해하기 어려웠다. 요즘 자주 하는 밸런스 게임과 비슷하다고 말해주자 그제서야 이해했다는 표정으로 환하게 웃었다.(밸런스게임 : ex. 월 300만원 받고 아무것도 안한다 vs 월 500만원으로 직장에 다닌다)

전통적 딜레마인 트롤리 딜레마에 대해서도 설명해줬다. 트롤리는 ‘광차’다. 광산에서 석탄, 물건 등을 운반할 때 사용하는 차다. 그냥 차를 보내면 a쪽으로 가서 5명을 치게 되는데 의도적으로 레버를 돌리면 b로 가서 1명을 치게 된다.

상당수 학생은 5명보다는 1명을 희생하는 게 낫다고 손을 들었다. 하지만 그 1명이 학생의 가족이라고 가정할 때는 5명을 희생해야 한다고 말했다.

학생들의 거수로 도덕적 결정을 시킨 뒤 상반된 입장의 벤과 칸트의 말을 보여주며 당신이 어느 쪽에 손을 들어줬든 당신의 의견은 모두 지지된다. 이처럼 똑똑한 사람들도 의견이 갈리기 때문이다.라고 학생들의 자유로운 의견 표현을 장려했다. 칸트와 벤덤을 들어본 적이 있다는 학생도 있었으니까 요즘 애들은 참 똑똑하구나.라고 느꼈다.

그 다음은 트롤리 딜레마를 자율주행차에 대입해 상황을 해결해 나갔다. 시속 70km로 달리는 자율주행차로 브레이크가 고장나 브레이크를 밟을 수 없고 할 수 있는 일은 고작 운전대를 돌리는 것이라고 사전 설명했다. 각각의 딜레마 상황에서 학생들은 두 가지 선택 중 하나를 선택해 손을 들어야 했다. 학생들이 선택을 꺼리거나 상황을 회피하려고 할 때마다 상황을 더 구체적으로 제시하며 선택을 하지 않고 회피해서는 안 된다고 지도했다.

마지막으로 토론을 학생들과 진행했다. 우선 보행자 우선/탑승자 우선 중 어느 쪽을 편들고 싶은지 거수를 통해 학생 수를 파악했다. 그 다음에 한 사람씩 그 이유를 말하게 했다. 토론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지난 시간에 도로교통안전을 알려줬더니 에어백, 안전벨트 등 안전장비를 잘 이해한 것 같았다. 시속 70㎞일 때 사고가 났을 때 사망 확률이 매우 높다는 수업 내용을 기억하고 있었다. 회사 이미지에 도움이 되려면 상대적 다수의 보행자를 위한 모션을 취해야 한다는 논리도 좋았다. 반면 차량을 구매하는 사람에게 가장 먼저 혜택이 돌아가야 한다는 논리도 이에 팽팽히 맞섰다.

이 클래스에서도 에어백, 안전벨트 등이 언급됐다. 그리고 여느 운전자보다는 보행자가 사고 현장에 더 많을 것이라는 추측도 등장했다. 별로 좋은론은 아니었지만 일단 써봤어. 그러면서 한 학생은 자신은 면허를 따지 않고 차도 운전하지 않기 때문에 보행자 중심으로 가야 한다는 논리를 폈다. 굉장히 콜버그 2단계다운… 그런 멘트였어. 반면 보행자는 도망쳐 몸을 피하기 쉽지만 탑승자는 차에서 벗어나기 어렵다는 논리도 있었다. 또 자율주행자동차가 ‘인도’로 인식할 수 있는 곳에 있는 것이 보행자의 의무라는 의견도 존재했다.

수업이 끝나고 사진을 남기려다 앞에 와서 자신들도 찍어달라는 아이들. 모두 덕분에 웃었다.

전반적으로 나온 의견이 엇비슷하면서도 조금씩 달랐다. 5학년 2학기 국어에 토론이 있어서인지 나름 논리적으로 논거를 제시하는 학생들이 많이 보였다.

마지막으로 자율주행자동차 사망사고 소개와 이에 대한 에릭 연아트의 발언에 대한 소개를 진행했다. 오늘 수업 주제에서 다룬 내용이 뜬구름 잡는 이야기가 아니라 우리 근처에서 얼마든지 일어날 수 있는 일이라고 생각하니 학생들도 한층 진지하게 표정이 변하는 것 같았다.

이번 기회에 나도 자율주행 자동차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할 수 있었다. 특히 생명과 관련된 일인 만큼 우리 모두가 이런 딜레마에 대해 신경 써야 할 날이 오지 않을까 싶다. 이번 수업을 통해 학생들이 생명윤리, 자동차의 속력과 인명사고의 영향관계, 토론할 때의 규칙과 예절 등에 대해 깊이 생각해 볼 수 있었기를 바란다.

#초등교사 #초등과학 #5학년과학 #교육과정재구성 #물체와운동 #자율주행자동차 #트롤리딜레마 #토론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