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거리/『 네이처 』지가 주목한 젊은 과학자 5명 중 한 명인 심·치에교은 과학자의 천문학+인생 에세이
인기가 있어서 리카바ー로 나온 책이다. 나는 리카바ー 버전에서 봤는데 초판의 표지가 천문 천문 천문(?)로 좋겠다. 리카바ー은 매우 감성적이라고 생각한다. wwwwwwwwwwwwwwwwwk
천문학이라는 단어에 가슴이 뛰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나도 천문학에 대한 막연한 동경이 있고 학부생 시대에 천문학 동아리에도 가입했지만 서클원들이 별은 보지 않고 물리, 화학 문제만 열심히 푸는 것을 보다…그러나 내가 본 모습이 천문학의 진짜 모습이었다는 것을 이 책을 통해서 깨달았다. 막연히 천문학자 하면 별을 바라보는 사람을 생각하기 쉽지만 심 채 경 과학자는 손을 젓는다. wwwwwwwwwwwwwwwwwk망원경은 원격으로 조종하고 많은 수식 계산을 한다는 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k뭐야, 그럼 수학자잖아..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k어쨌든 그렇다고 한다.
거리와 각도, 시차를 설명하기 위해서 칠판에 기대어, 모두가 보고 있지만 아무도 보지 못하게 노력하고, 점 두개를 칠판에 떠넘기며”이처럼 흥미진진한 것은 없다”라는 표정으로 학생들을 바라보던 그 순간, 무미 건조한 중년 아저씨의 눈에서 한순간 소년이 지나갔다. 술과 산해진미도 아니고 복권 당첨도 아닌데, 적어도 아름다운 “연주 씨”에 만난 것도 아니고 그냥 연주 시간. 이 십 수년간 1년 6,7반에서 같은 설명을 했을 것인데 왜 연주 때 차 등이 그 사람을 그리 즐길 것인지 매우 궁금했다. 일년 후 저는 지구 과학 경시 대회에 나오고, 어쩔 수 없는 상을 수상했다. -11쪽
과학자가 천문학에 빠진 계기이지만 나도 비슷한 계기가 있다. 중학생 때 wwwwwwwwwwwwwwwwwww첫시간에 앞머리에 폰을 많이 넣고,”전 한국 이”란 별명을 가지쿡사 선생님이 있었지만, 그 선생님이 1시간 조선의 모든 왕조를 방문하는 수업을 받은 적이 있다. 저의 전후의 옆에서 자고 있었는데, 저는 그 수업이 너무 재미 있어 집중도가 좋아 푹 빠졌다. 그때 일을 생각했다. 아, 나 역사를 좋아하는구나.wwwwwwwwwwwwwwwwwwwwk그리고 몇년 후 나는 역사를 전공하게 된다.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당시 제 점수가 사학과보다 높은 립결 과에 갈 수 있었지만 끈기를 가지고 사학과 하나만 지원했다. 그리고 입학하면 나보다 더 역사 오타쿠가 많아서 저의 성적은 엉망이 되었고.. 그렇게 나는 역사는 좋아하지만 역사를 잘 모르는 일반인이 되어 졸업한다.wwwwwwwwwwwwwwwwwwwwwwwwwk
수상한 ” 검은 먼지”이 보고된 기록을 모아 보니 백두산 화산 분출 추정 연대와 비슷하고 있었다는 주장이 담긴 보고서를 받았을 때는 눈물이 나올 뻔했다. 실록 가운데 자신이 좋아하는 특정 임금의 통치 기간만 조사하거나 자신의 출신 지역이 언급된 기록에 집중한 보고서에서는 애착이 느껴졌다. -“우주의 이해”과목-52쪽
과학자가 잠시 학교에 있던 시절 교양 과목을 강의하고 역사에 남은 천문 기록을 과제로 꼭 보내셨다고 한다. 저도 이런 과제를 한 경험이 차례차례로 떠올라www나는 실록에서 “자신의 고향의 역사 찾기”라는 과제를 한 적이 있지만 광주는 아무리 찾아도 안 와서 광주의 이웃인 나주를 배경으로 숙제를 했다. 놀라운 것은 나주가 매 사냥으로 유명했던 것. 지금은 타카읨도 없고 곰탕만 있는데…wwwwwwwwwwwwwwwwwk아무튼 타카가 많은 고장이라는 것이 신기하고 지금은 광주가 크지만 예전에는 나주가 더 컸다는 것도 신기했다. 그리고 나주에 사는 사람이 잘하면 고장이 승격되고 못하면 고장의 지위가 격하되는 것도 정말 신기 wwwwwwwwwwwwwwwwwk이 숙제를 정말 흥미롭게 한 기억이 있다. 아마 과학자님의 수업의 수강생들도 나처럼 숙제를 즐겁게 한 것 같다. 특히 과학자님이 감동에 감동을 먹은 검은 먼지 보고 기록과 백두산의 화산 분출 추정 연대의 연결 고리를 발견한 보고서.저건 진짜 제3자인 제가 봐도 감동하고 영리하고 모든 속셈 ㅠㅠㅠㅠ
과학자님이 유명하게 만든 달 탐사 프로젝트와 관련한 에세이도 있지만 우주에 갈 때는 무엇보다 ‘행성 보호’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나는 우주에서 무엇을 가지고 오는 것만 주의하면 된다고 생각했는데.지구에서 반출하는 것도 중요하다. 행성 보호의 주요 내용은 탐사기 치지 않고 열심히 씻고 알콜로 소독하거나 열 건조 처리한다. 그리고 참고에 달나라에 다녀온 아폴로 우주인들은 3주의 격리된 것으로 알려졌다. 거리를 둘을 미리 경험하는 반 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
그리고 과학자님의 유치원에 다니는 딸이 말을 엄청 웃겼지만 wwwwwwwwwwwwwwwwwk친구가 화성으로 이사를 가서 우주선을 타고 멀리 갈 수 없기 때문에 볼 수 없다고 슬프고 상당히 웃긴 것 wwwwwwwwwwwwwwwwwwwwk
단 장단 장처럼 재미와 감동이 번갈아 가면서 나오는데 한국이 발견한 별에 ‘백두산’과 ‘한라’라는 이름을 붙인 사례는 감동의 도가니였다. 백두와 한라 이름만으로도 벅차고 있다.자부심이….!!!!
과학 논문에서는 항상 저자를 ‘중’이라고 칭하고 있지만 연구는 인류의 대리자로서 하는 것이라 그 결과가 논문이므로 여기에서 우리는 논문 공저자가 아니라 인류로 한다는 설명이라도 내가 다 감동.
책이 단지 좋은 것은 아니어서 대부분의 에세이가 그래 이 책도 글이 좀 중구 난방이라는 느낌을 받았지만 그것이 또 에세이의 묘미가 아닌가 싶기도 하고..? wwwwwwwwwwwwwwwwwk 그랬다.
+

행성 연구자의 책답게 쪽수 표시도 둥근 행성 안에 들어 있는 것이 너무 귀여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