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을 만든다_도로교통인프라 성능평가 안전한 자율주행

기상재현표준암실기반도로 교통인프라성능평가_KCL 도로안전반

Why_도로교통인프라 왜 중요할까?

정부는 2030년 미래 세계 리딩 국가로 도약하겠다는 의지와 전략을 담은 2030 미래 자동차 산업 발전 전략(2019. 10. )을 발표하고 완전 자율주행자(Level 4)를 2027년까지 상용화하기 위한 필수 제도와 인프라(통신, 교통관제, 도로)를 2024년까지 전국 주요 도로에 완비한다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센서(카메라·라이더·레이더 등) 기반의 자동운전차의 안전운행을 위해, 센서 대응인식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존 도로교통 인프라의 성능개선이나, 도로환경 핸디캡의 상황 하에서도 자동주행 센서의 인식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신규 도로교통 인프라의 개발이 불가결하다.완전 자율주행차(Level 4) 상용화 지원을 위해 다양한 센서 기반의 도로교통 인프라 인식성능 평가인증을 위한 시험방법의 표준화가 선행돼야 한다.

Why_ 인공강우 표준암실, 왜 필요할까?

KCL이 보유한 인공강우 표준암실은 길이 35m, 폭 6.5m, 높이 4m 규모로, 빛의 산란을 방지하기 위한 무광 페인트로 마감 처리되어 있으며, 도로교통 인프라의 시인성능 평가 및 자동차 등화장치의 시험 및 평가가 가능하다.

노면 포시(차선 등)는 주야간 기상조건에 관계없이 운전자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해야 하므로 시인성능 기준은 차량 전조등에 반사되는 재귀반사도를 주로 활용한다.

재귀반사성을 측정하는 산업표준(KSM 6080)에 명시된 젖은 노면조건은 표면 전체가 골고루 젖도록 물을 부어 측정현장과 그 주변이 일사적이지만 표면이 포화상태를 조성한 후 1분 후에 재귀반사도를 측정하여 비가 오는 노면조건은 평균 20mm/h의 강우밀도가 5분 이상 내리도록 한 후 강우밀도가 5분 이상 떨어지도록 한 후 강우밀도를 측정하여 강우밀도를 측정함.

좌_표준암실내부전경 우_강우모사실험전경 How_실도로기반성능평가는 어떻게 활용되는가

국토부는 비오는 밤에도 차로가 잘 보이는 안전한 도로 환경을 위해 고속국도, 일반국도의 차선휘도 전수조사를 실시하고 디지털 관리 시스템을 구축해 시인성 부족 구간 등 도로 환경의 위험 요소를 선제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표준 암실을 활용하여(Lab) 기반의 재귀 반사 성능 평가를 실시하였다면, 실도로 기반의 재귀 반사 성능 평가를 위해서는 차량에 장착하여 주행 속도로 연속적으로 재귀 반사 성능을 측정할 수 있는 모바일 측정 장비와 현장에서 직접 재귀 반사 성능을 측정할 수 있는 휴대용 측정 장비가 있다.

좌_모바일 재귀반사 측정장비 우_휴대용 재귀반사 측정장비

표준암실 기반의 재귀반사 성능 평가 인프라와 실제 도로 기반의 재귀반사 성능 평가 장비를 모두 보유하고 있는 KCL이 도로교통시설물 관리 주체와 긴밀한 협업을 통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노면표시 성능 평가기술을 선도할 것으로 기대된다.

☎ 문의 KCL 도로안전반 : 043-718-9015

↓ 더 자세히 알아보기 ↓

KCL LIFE, kcllife, kcl라이프, kcl웹진,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웹진 www.kcllife.kr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