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가 전용 전기차 EV 플랫폼을 E-GMP가 아닌 새로운 플랫폼을 이용해 플래그십 EV를 개발하면서 관심을 모았다. 현대차는 제네시스 신형 G90 풀체인지 발표회장에서 G90의 전동화가 쉽지 않다고 밝혔다. 다른 세그먼트(segment)에서 최고급 전동화 계획을 세운다고 했다.

제네시스 인스타그램을 제외한 순수 제네시스에서는 G80에 대한 전동화를 진행한 바 있으며, G70에 대한 전동화도 발매 직전에 있다. 그러나 플래그십만은 순수 EV를 별도로 개발해 출시하겠다는 전략으로 보인다. G80 전동화에 대해서는 내연기관 모델을 이용해 진행하고 있었다. 순수 전기차 플랫폼이 아닌 만큼 실내와 트렁크 공간이 좁아졌다는 지적이 있었다는 것이다.

제네시스 인스타그램을 뺀 세련된 배터리 팩의 위치가 문제가 될 수 있지만 대부분의 전기차나 전동화 모델이 세단이 아닌 CUV나 SUV로 내놓는 이유 중 하나가 배터리 팩 바닥 장착 때문이라는 것이다. 바닥에 장착하면 높이 제한이 있는 세단의 경우 그만큼 공간 효율성이 떨어진다고 한다.

제네시스 인스타그램 발췌 제네시스 G60의 경우는 E-GMP 플랫폼을 이용해 만든 준중형 전기차 스포츠유틸리티 SUV 모델이다. 플래그십 모델의 경우는, 종래의 e-GMP가 아닌 별도의 EV플랫폼을 개발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G90뿐 아니라 GV90까지 포함될지는 아직 미정이다. 다른 세그먼트라는 표현을 썼으니 신형 G90 대신 다른 라인업으로 플래그십 전기차가 적용될 것 같다.

제네시스 인스타그램의 멋과 같은 계획은 제네시스의 전동화 계획에 따른 것이라고 한다. 2025년 이후에는 모든 차종을 순수 EV로 하나는 된다. 2030년까지 8개의 전동화 라인 업의 구축이다. 자동차 모델에 대한 개발 기간을 감안하면 올해부터 개발되는 모델은 순수 전기차 모델이 된다.

제네시스 인스타그램을 뺀 반면 현대차에서는 수소차도 언급했다고 한다. 제네시스 전동화의 기본은 BEV 배터리 전기차와 FCEV 수소전기차의 투 트랙 전략이었다. 현대차는 수소연료전지를 포기한 것이 아니라고 했다. FCEV 경쟁력과 시스템 개발에 맞는 일정으로 라인업을 조율하고 있다는 것이다.

제네시스 인스타그램 뽑기 멋 제네시스 G90 풀체인지에서 처음 적용되는 자율주행 레벨3에 대해 판매 시점을 분기로 잡은 것으로 알려졌다. 레벨 3을 적용하는 최초의 모델은 제네시스 G90으로 했다. 조건부 자주단계인 3등급은 정해진 조건에서 운전자 개입 없이 자유주행이 가능한 단계인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양산차 가운데 최고 수준의 자율주행 단계라곤 일본 내수용 혼다 레전드만 있다고 한다. 대부분은 레벨 2라고 한다. 제네시스에서 3등급을 받겠다고 하니 부정적인 의견도 많다.

wheelz 발췌 현대차에서는 60km/h 이하에서 운전자가 관여하지 않는 레벨 3을 구형한 방향으로 했다. 우선, 저속으로 실장한 다음 고속 주행등을 실현하려고 하고 있는 것 같다. 현대차는 이미 레벨 3레벨의 HDP를 개발해 올해 신차부터 적용한다고 밝혔다. 제네시스 G90은 하단에 HDP(Highway Driving Pilot)를 구현하기 위해 두 개의 라이더 센서를 장착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라이더 센서를 이용하여 가속, 감속, 차선변경과 추월조향 등이 가능하다고 하였다.

wheelz 발췌 국내법규에서는 60km/h까지 HDP가 작동하고, 이상의 속도에서는 레벨 2 수준의 고속도로 주행보조금이 HDA2로 전환되는 것으로 하였다. 이번 출고 신차에는 적용되지 않지만 향후 OTA를 통해 HDP 업그레이드가 예상된다. 규제완화에 따라서는 HDP 속도 최고 제한을 130km/h 끌어올릴 전망이라고 한다.

▲wheelz 발췌=금년의 제네시스의 판매 목표는 20만대라고 한다. 올해는 22만 대로 예상된다고 한다. 제네시스 G90의 경우 출시 후 1만8000대 이상의 계약을 맺은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