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학년 2학기 과학은 정말 재구성하고 싶은 시간이 많다. 그리고 적절히 재구성할 수 있는 것도 초등학교 교사의 전문성이 아닌가 싶다.


<4단 물체와 운동> 적용 차량은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해 우리 학교의 안내지도 만들기”다.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해 위치, 이동 거리를 파악하고 학교 내 주요 장소와 이동 경로를 각각 다른 지도로 만들어 내는 것이 원래 시간이다. 구간별 이동 거리, 이동 시간을 정해 지도 위에 속도까지 표현하면 완성이다.
그런데 사실 이 시간이 너무 마음에 안 들었어. 우선 4개 단원에서 GPS를 이미 활용한 전적이 있다. 실험관찰서에 ‘학생의 집에서 학교까지 오는 거리와 시간을 지도 프로그램을 활용해 쓰기’ 활동이 지난 시간에 이뤄졌다. GPS를 활용한 주요 건물을 그리는 방법, 건물 간의 이동 거리와 속력을 구하는 것이 <물체의 운동>단원의 Big Idea와 연계될 수 있을지도 불투명하다. 마지막으로 코로나 악화로 인해 맞춤식 학습, 학교 내 이동이 매우 제한된 상황에서 해당 시간이 부적절했다.
위와 같은 이유 등으로 다음과 같은 불만을 갖고 어떤 적절한 활동을 만들어낼지 고민하던 중, 그 다음 페이지에서 해답을 발견했다.


이거다…! 실생활과의 연계를 높이기 위해 자율주행차를 테마로 설정하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코로나에 의해 단축된 수업시간인 30분동안 하기에 적합한 것을 고민하다가 결국 국어교과 토론과 연계해 보면 어떨까 하는 아이디어가 떠올랐다. 실제로 2016~2018년 자율주행자동차 도로주행 테스트 도중 사망사건이 있었다는 뉴스를 본 적이 있어 아이들에게 알려줬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학부시절 배운 딜레마 토론까지 합쳐 과학+도덕+국어 교과간 연계를 이룰 수도 있을 것 같았다. 의미 있는 수업이 될 것 같아서 바로 자료조사에 들어가 수업을 만들었다.
혹시 교통사고 전과가 있는 학생에겐 트리거가 돼 본의 아니게 학생들을 괴롭히는 건 아닐까 했는데 다행히 우리 학년에는 교통사고를 당한 학생이나 학생의 가족이 없는 것 같았다. 내 글을 보고 수업을 참고하려고 할 때 이런 트리거에 대해 생각해 보라. 그리고 만약 관련 학생이 없더라도 이 모든 상황이 가상 상황이라고 말하고, 만약 불편하고 힘든 학생이 있다면 반드시 교사에게 말해 달라고 부탁하자.

ppt 템플릿은 참선생님의 콘텐츠 스쿨에서 다운로드 받았다. 학교 교육을 목적으로 할 경우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동기 유발로는 미래를 탈 자동차를 떠올리며 자율주행 자동차 시대의 도래를 암시했다. 요즘 자동차도 자율주행 모드가 달려 있어 학생들도 어느 정도 예상은 하고 있었다.

학습목표와학습순서는최근꼭제시하고있다. 수업에대한로드맵을미리제시하여수업흐름을파악하는데도움이 된다.

우선 아이들이 딜레마라는 단어에 대해 잘 모르는 것 같아 딜레마라는 단어 의미부터 설명했다. 아이들은 사전적 정의를 들어도 이해하기 어려웠다. 요즘 많이 하는 밸런스 게임과 비슷하다고 말하자 비로소 이해한다는 표정으로 환하게 웃었다.밸런스 게임 : ex. 月ᅡ ( 何 받고 아무것도 안 해 vs 月 ( ( 職場 받고 직장에 다니다)

전통적 딜레마인 트롤리 딜레마에 대해서도 설명해 줬다. Trolley는 ‘광차’다. 광산에서 석탄, 물건 등을 운반할 때 쓰는 차다. 그대로 차를 보내면 a쪽으로 가서 5명을 치게 되지만 의도적으로 레버를 돌리면 b로 가서 1명을 치게 된다.
대부분의 학생은 5명보다는 1명을 희생하는 것이 낫다고 손을 들었다. 그러나 이 중 한 명이 학생 가족이라고 가정할 때는 5명을 희생해야 한다고 했다.

학생들의 거수로 도덕적 결정을 시킨 뒤 상반된 입장의 벤담과 칸트의 말을 보여주며 당신이 어느 쪽에 손을 들든 당신의 의견은 모두 지지를 받는다. 이처럼 똑똑한 사람들도 의견이 갈리기 때문이다.하며 학생들의 자유로운 의견 표현을 장려했다. 칸트와 벤담을 들어본 적이 있다고 하는 학생도 있었기 때문에, 요즘 아이들은 정말로 영리하구나라고 느꼈다.

그 뒤에는 트롤리 딜레마를 자율주행 자동차에 대입해 상황을 풀어나갔다. 시속 70km로 달리는 자율주행 자동차로 브레이크가 고장 나 브레이크를 밟을 수 없으며 할 수 있는 일은 핸들을 돌리는 것이라고 사전 설명했다. 각자의 딜레마 상황에서 학생들은 두 가지 선택 중 하나를 선택해 손을 들어야 했다. 학생이 선택을 꺼리거나 상황을 회피하려고 할 때마다 상황을 더 구체적으로 제시했고 선택 없이 회피해서는 안 된다고 지도했다.

마지막으로 토론을 학생들과 진행하고 먼저 보행자 우선/탑승자 우선 중 어느 편을 들고 싶은지 손을 들어 학생 수를 파악했다. 그다음에 한 명씩 그 이유를 말하게 했다. 토론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지난 시간에 도로교통안전을 알려줬는데 에어백, 안전벨트 등 안전장비를 잘 이해하는 것 같았다. 시속 70km일 때 사고가 났을 때 사망 확률이 매우 높다는 수업 내용을 기억하고 있었다. 회사 이미지에 도움이 되려면 상대적 다수의 보행자를 위한 모션을 취해야 한다는 논리도 좋았다. 반면 차를 사는 사람들에게 가장 먼저 혜택이 돌아가야 한다는 논리도 이에 팽팽히 맞섰다.

이 클래스에서도 에어백, 안전벨트 등이 언급되고 있다. 일반 운전자보다는 보행자가 사고 현장에 더 많을 것이라는 추측도 등장했다. 별로 좋은 의견은 아니었지만 일단 써봤어. 그러면서 한 학생은 자신은 면허를 따지 않고 자동차도 운전하지 않기 때문에 보행자 중심으로 가야 한다는 논리를 폈다. 굉장히 콜버그 2단계다운 그런 멘트였다 반면 보행자는 도망쳐 몸을 피하기는 쉽지만 탑승자는 차에서 빠져나오기 어렵다는 논리도 있었다. 또 자율주행자동차가 “인도”로 인식할 수 있는 장소에 있는 것이 보행자의 의무라는 의견도 존재했다.


수업 끝나고 사진에 남겨두려고 하는데 앞에 와서 자기들도 찍어달라고 하는 아이들. 너희들 덕분에 웃었다.

전반적으로 나온 의견이 비슷비슷하면서 조금씩 달랐다. 5학년 2학기 국어에 토론이 있어서인지 나름대로 논리적으로 논거를 제시하는 학생들이 많았다.

마지막으로 자율주행 자동차에 따른 사망사고 소개와 에릭 요나트의 발언에 대해 소개했다. 오늘 수업 주제에서 다룬 내용이 뜬구름 잡는 얘기가 아니라 우리 근처에서 얼마든지 일어날 수 있는 일이라고 생각하니 학생들도 한결 진지하게 표정이 바뀌는 것 같았다.
이번 기회에 나도 자율주행 자동차에 대해 많이 생각해 볼 수 있었다. 특히 생명과 관련된 것인 만큼 우리 모두가 이런 딜레마에 대해 신경을 써야 할 날이 오지 않을까 생각한다. 이번 수업을 통해 학생들이 생명윤리, 자동차 속도와 인명사고의 영향관계, 토론할 때의 규칙과 매너 등에 대해 깊이 생각해 보길 바란다.
#초등학교교사 #초등학교과학 #5학년과학 #교육과정재구성 #물체와운동 #자율주행자동차 #트롤리딜레마 #토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