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눈은 오염물질에 쉽게 노출될 수 있습니다. 미세먼지와 집안 먼지를 비롯해 각종 화장품, 화학용품 등이 쉽게 도착합니다. 이 때문에 알레르기 반응이 나오거나 유행성 결막염에 걸리기도 합니다. 결막염이란? 증상, 전염
눈꺼풀 안쪽을 결막이라고 하는데 이 부분에 염증이 생긴 것을 결막염이라고 합니다. 세균이나 바이러스, 먼지, 자외선, 화학제품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증상은 아래와 같습니다. 가려움증, 충혈통이 물감, 부종, 눈곱 알레르기, 결막염은 전염되지 않지만 급성 바이러스성 결막염은 전염되기 쉽습니다. 발병 후 2주간은 전염성이 매우 강하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특히 오염된 물을 통해 전염되기 쉬우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사람이 모이는 장소를 피하고 손을 자주 씻는 것이 중요합니다.

유행성 결막염의 증상 및 치료
아데노바이러스나 엔테로바이러스 등에 의해 야기되는 결막염은 유행성 각결막염이라고도 합니다. 1주일 정도의 잠복기 후 급성으로 증상이 발생합니다. 눈이 충혈되고 이물감과 가려움증이 느껴지며 통증과 눈곱이 증가합니다. 눈부심을 느끼는 경우도 있습니다. 어린 유아의 경우 설사나 인후통, 고열을 동반할 수도 있습니다. 어렸을 때 눈병에 걸린 친구만 봐도 감염된다는 얘기를 들어봤을 거예요. 그만큼 전염성이 굉장히 강해요. 실내에서는 수건과 비누, 침구를 따로 사용하는 등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공기 중에 전파되는 것은 아니지만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전염되기 때문에 개인위생관리가 어려운 어린이들의 경우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에 가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한쪽 눈만 감염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다른 한쪽 눈이 감염될 수도 있습니다.
결막염은 2~3주 정도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좋아지지만 각막과 결막이 손상돼 이차적인 세균 감염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항생제 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증상이 심한 경우 염증을 줄이기 위해 스테로이드 안약을 함께 사용하기도 합니다. 감기처럼 개인 면역이 중요하고 손 씻기를 습관화해야 합병증 없이 좋아집니다.
알레르기 결막염 증상 및 치료

알레르기 결막염은 집먼지 진드기, 동물의 털, 꽃가루에 의해 급성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담배 연기, 향수, 곰팡이, 특정 음식 등도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가려움증과 충혈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며 눈을 비비면 할수록 가려움증이 심해집니다. 흰자가 붉어지고 결막이 붓기도 합니다. 만성 알레르기의 경우 증상은 심하지 않지만 가끔 눈이 간지럽고 건조할 수 있습니다.봄철에 나타나는 알레르기 결막염은 10대 이하 어린이나 청소년에게서 흔히 볼 수 있으나 대부분 비염, 축농증을 동반하게 됩니다. 이것 때문에 노란색 눈곱이 많이 생겨요.
갑자기 눈이 간지럽고 각막이 부었을 때 식히면 증상이 완화됩니다. 그래도 가려움증이 낫지 않으면 안과에서 항히스타민제 안약을 처방받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눈이 건조하고 자극이 심한 경우 인공눈물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래도 좋아지지 않으면 스테로이드 안약을 쓰기도 합니다. 이러한 알레르기 결막염은 치료를 위해서는 원인을 제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손을 깨끗이 씻고 침구를 청결하게 관리하며 비염이나 축농증이 있는 경우에는 먼저 이를 관리해야 합니다. 다른 사람에게 전염되지 않기 때문에 수건을 따로 사용하는 등의 행동은 필요 없습니다. 예방하다

원인을 제거하는 손 세정 면역력을 높이기에 적절한 실내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는 실내 공기를 자주 정화시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