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목터널증후군 예방법 및 자가진단 방법에 대해

안녕하세요 셀피아 의원입니다
이제 우리의 생활 속에 컴퓨터, 스마트폰과 같은 ‘스마트 기기’가 없어서는 안 될 물건으로 자리잡았습니다.이것을 활용해서 업무를 보고 또 취미생활을 즐기고 여가시간을 보내기 때문에 일상과 뗄래야 뗄 수 없는 관계가 된 것입니다.
이것을사용하면서여러가지편리한삶을살게되었다라는장점이생기기도하지만,건강에포커스를맞추다보면반대로단점이눈에띄어보입니다.
스마트 기기 사용으로 손목이 아프고, 게다가 손목 터널 증후군 증세를 호소하는 사람이 많아졌기 때문입니다.

손목터널증후군 도대체 무슨 일이야?손목터널증후군은 다양한 원인으로 내부 압력이 증가하여 수근관을 지나는 정중신경이 압박을 받아 각종 통증을 일으키는 질환입니다. 수근관은 손목을 구성하는 뼈와 인대에 의해 형성된 작은 통로를 말합니다.
수근관 속의 정중 신경이 압박되면 손목, 손바닥이나 손가락 끝에 통증이 생기게 됩니다. 이러한 증상은 야간에 악화되는 경향이 있으며 증상이 서서히 진행되면 손의 근력이 저하되어 마비증상이 발생하고 바느질과 같은 미세한 작업이 어려워지는 것이 특징입니다.

●손목터널 증후군 원인은?아까전에해당질환은현대인에게자주발생하는것중의하나라고말씀드렸는데요.이는 반복 PC 사용(타이핑, 마우스 사용 등), 스마트폰 사용이 원인이 되기 때문입니다.
마우스를 손에 들고 있는 모습, 스마트폰을 들고 있는 모습을 떠올리면 손목이 부러져 있는 모양을 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이렇게 손목보다 손가락이 더 위쪽에 위치하고 손목은 부러진 상태가 장시간 유지되면 손목을 지나는 신경이 손상되어 손목터널증후군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그 질환은 남성보다 여성의 5배 정도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만. 그 이유는 집안일을 하면서 걸레질을 하거나 칼을 사용하거나 손목을 과도하게 사용하거나 손목에 무리가 가는 자세를 오래 유지하는 것도 원인이 되기 때문입니다.

손목 터널 증후군의 자가 진단 방법과 증상 파악의 대표적인 손목 터널 증후군의 증상은 손과 손목에 저림이 느껴진다는 것입니다. 손목터널증후군이라는 병명 때문에 손목에만 통증이 있다고 생각하기 쉬운데 그것에 연결된 엄지손가락부터 넷째 손가락까지 저리고 미세한 경련이나 아픈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은데.
심한 경우 손의 감각이 이상해지고 불에 타는 듯한 느낌이 들지만 손목터널증후군 자가진단법으로 인해 본인의 증세가 의심된다면 병원을 방문하여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팔렌 검사 테이블에 팔꿈치를 올리고 손목을 최대한 구부려 1 분 이상 같은 자세를 유지합니다.
맞히는 방법이 어려운 경우는, 손가락을 아래로 향하게 하여 손등을 맞추어 1분간 유지합니다. 해당 검사 시 손 부위에 통증이 있거나 엄지, 검지, 중단 감각이 없다면 손목 터널 증후군을 의심해야 합니다.티넬 검사 엄지와 검지를 맞대어 손목을 안쪽으로 조금 구부립니다.
이때 삐져나오는 두 힘줄 사이를 살짝 눌러주거나 이것을 가볍게 두드려줍니다. 이 때 통증이나 저림을 느끼면 손목 터널 증후군일 확률이 높습니다.

손목터널증후군 어떻게 예방할 수 있을까요?손목터널증후군이 현대인에게 많이 발현되는 증상이지만 어떤 노력을 하느냐에 따라 충분히 예방할 수 있는 부분입니다.
따라서 본인이 현재 증상을 의심하고 있거나 의심하지 않아도 스마트 기기를 자주 사용하고 가사 등을 자주 사용한다면 손목터널 증후군을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을 확인하고 실천하여 이를 방지하는데 힘써야 합니다.*손목터널증후군 예방방법* ■ 손바닥이 위가 되도록 팔을 뻗은 후 손가락이 아래가 되도록 당겨주는 손목 스트레칭을 가끔 해줍니다.■집안일, 무거운 짐 들어올리기 등 과도한 손목 사용은 삼가주세요.■스마트폰은 오래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한손으로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행동) ■몸무게를 관리해주는 것이 필요합니다.■스트레스는 관절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스트레스 관리가 필요합니다.■손목보호대 착용으로 손목을 보호해야 합니다.■ 손목 주변의 온도를 따뜻하게 유지하도록 합니다.이 예방 방법을 지켜 주시면 수술을 해야 하는 상황을 충분히 피할 수 있으므로 미리 잘 지켜 주십시오.



서울특별시 강남구 언주로 4 13 태현빌딩 1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