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민의 <감옥의 몽상> 서평 남선이라는 이름의 함정 ::

형민의 <감옥의 몽상> 서평 :: 남성성이라는 이름의 함정

나는 진짜 남자다. 군대 갔다 온 진짜 남자 ‘군대가지 않으면 그냥 남자’ 2013년 대박을 터뜨린 MBC 예능프로그램 ‘진짜 남자’에 출연한 가수 손진영은 ‘한국인을 빛낸 100명의 위인들’을 제목으로 바꿔 불렀다. 많은 남성들의 공감을 얻었다는 평가를 받은 이 곡은 그 인기에 힘입어 정식 음원으로 발매됐다.

한국 사회에서 군대는 곧 소년에서 남자로의 진화를 의미한다. 남자들은 자신이 진짜 남자임을 입대하여 증명해야 한다. 군대에 가지 않은 남자들은 나이에 상관없이 미숙아로 간주된다. 분별없는 행동은 “군대에 다녀와야 정신을 차린다”라는 말이 붙는다. 20대 초중반 남자 되기를 제대로 실천했는지는 생의 대부분 기간 그를 평가하는 한 꼬리표가 된다. 누군가 자신이 해병대를 나왔다고 하면 으레 존경의 눈초리가 따라오듯 말이다.

저자는 집단주의에 반기를 들며 입대를 거부했다. 그에게 있어 완전한 개인이란 ‘자기다움을 잃지 않는 존재’였다. 그는 집단주의에서 벗어나야 했다. 본인을 페미니스트로 아이덴티화한 저자에게 집단 군대 생활은 남성성의 학습과 분리되어 말할 수 없는 것이었다. 그런데 병역 거부를 한 저자가 군대 대신 간 교도소 역시 또 다른 남성성 학교였다.

교도소를 군대와 완전히 같다고 할 수는 없다. 교도소 내에서는 짬밥에 의한 지위 상승을 보장받을 수 없기 때문이다. 오래 산다고 서열이 올라가는 것은 아니라는 뜻이다. 이 때문에 교도소 내에는 항상 위계의 불안정성이 도사리고 있다. 오히려 이 불안정성으로 인해 수감자들은 군대보다 압축적이고 효율적으로 남성성을 학습한다. 그들은 군인보다 더 열심히 힘을 과시함으로써 남성성을 수행하고 있다. 흐물흐물한 근육을 보이거나 자신의 왕년의 행보를 뽐내는 것과 같다. 남성이 되는 것을 실천하고 있음을 온몸으로 증명하면 서열에서 높은 지위를 차지할 수 있다. 가부장제 사회에서는 남성성이 곧 인간성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위계구조에서 배제되지 않기 위해 남성성 수행은 필수적이다.

국가는 수인간의 서열 경쟁을 알면서도 침묵한다. 위계 정립은 남자들이 모이면 반드시 일어나는 정상적인 일로 간주되기 때문이다. 병역 거부자는 1년 반 동안 다른 죄수와 함께 수감된다. 이 과정에서 병역 거부자들은 군대와 마찬가지로 남성성을 배운다. 군대에 가지 않았다가 더 힘든 군대에 들어간 셈이다. 이들에 대한 대체복무 논의 없이 국가는 이들을 감옥에 보낸다. 이는 남성성 기획을 통과하지 못하는 단 한 사람의 국민도 없도록 하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1년 6개월 이상 실형을 받은 죄수는 군에 갈 수 없다. 따라서 대부분의 죄수는 군대에 가지 않은 사람들이다. 남성성을 거부하는 저자의 모습은 군대에 가지 않은 죄수들 사이에서도 눈엣가시였다. 그는 특히 비야훼 증인 병역 거부자라는 점에서 수감생활이 쉽지 않았다. 종교적 이유가 없는데도 입대를 거부하는 것은 다른 죄수들이 이해할 수 없는 행동이었기 때문이다. 입대 거부나 남성답지 않은 말투 등으로 저자는 감옥에서 겁 많은 비남성, 즉 여성으로 취급받아 왔다. 그는 자신이 여성화되고 있음을 깨달았다. 그러나 별다른 저항은 없었다. 대신 인생에서 엇갈린 여자들을 환상 속에 불러내 그리워함으로써 자신의 남성성을 보완했다.

교도소에는 ‘소지’라는 잡역부 직이 있다. 이들은 죄가 적은 여호와의 증인들에 의해 상대적으로 구성된다. 그들은 간수의 남성성을 지키고, 처리하는 데에는 여성적인 일을 하고 있다. 예를 들면, 죄수들에게 약을 주거나, 편지에 대한 검열 등의 역할을 하기도 한다. 소지자는 동시에 죄수를 보살핀다. 죄수가 간수에게 보살핌을 받아야 하는 무력한 대상이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간수와 죄수의 남성성을 지키기 위해 두 그룹 사이에 비남성 즉 여성을 탄생시킨 셈이다.

비남성은 곧 여성과 동의어로 여겨진다. 남성성은 성별만으로는 성립되지 않는다는 의미다. 남성성은 여성적인 것을 비하함으로써 구성된다. 나약함, 눈물, 공감과 의존 같은 비남성적 속성은 여성적인 것이 된다. 이들의 속성은 여성의 것이기 때문에 업신여기고 푸대접받는다. 이때의 남성성은 생득적 특질이 아니다. 특정한 속성을 밀어냄으로써 얻는 왜곡된 증상이다. 죄수는 이런 증상의 남성성을 드러냄으로써 남자임을 실천해야 한다. 남성성을 성실히 수행하지 않으면 이들은 여성으로 전락하고 만다.

군대가 남성성을 전수하는 집약체라면 감옥은 집총하지 않는 군대다. 감옥에서도 군대와 마찬가지로, 아니 군대보다 압축적으로 남성성 전수가 이뤄지기 때문이다. 이런 남성성의 기획과 추구는 군대와 감옥뿐 아니라 사회 전반을 관통한다. 가족 학교 회사 등 전 기관에 걸쳐 남성성을 전수받지 못한 곳은 없다. 남성은 일상 속에서도 계속 남성성 검증을 통과해야 한다. 슬픈 영화를 보고 울지 않았는지, 목욕탕에 당당하게 갈 수 있는지, 힘이 세고 근육이 붙었는지, 여성을 성적 대상화하는 등의 검열은 상시 진행된다. 남성임에도 항상 남성성을 입증해야 한다는 사실은 남성성이 이들의 본질적 속성이 아님을 역설적으로 증명한다.

2001년 오태양 원사가 비여호와의 증인임에도 불구하고 군복무를 거부해 사회적으로 큰 반향을 일으킨 바 있다. 그로부터 19년이 지난 올해 초에야 병역 거부자의 대체 복무를 허용하라는 헌법재판소의 결정이 나왔다. 이는 병역거부자들의 인권침해를 막고 그들의 이름 뒤에 전과자라는 오명을 없앤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그러나 이들의 대체복무 장소는 교정시설 중심으로 논의되고 있다. ◆군대가 아니면 감옥 중 하나를 반드시 보내서라도 남성성을 가르치겠다는 국가의 기획은 아직 성공적으로 수행 중이다.

서평서 강좌에서 낸 서평을 좀 더 고쳐 보았다.시간이 흐른 뒤 다시 보니 왜 글이 불친절하다는 얘기를 들었는지 알겠기에 몇 가지 설명을 덧붙였다.

이 책 정말 재미있게 읽었어.개인적으로는 저자가 뒷면에 실은 감옥으로부터의 몽상 서평이 매우 흥미롭다.신영복의 책을 여성학적으로 분석한 글이다.감옥에서의 몽상을 읽어보신 분은 이 책 뒤의 서평을 꼭 읽어보세요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