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격 미사일 인공 위성

프랑스의 인공위성은 1996년에 우주 쓰레기에 의해 파괴되었다. 넓은 우주 공간에서 물체 사이의 충돌은 제로에 가깝다. 하지만 지구를 돌고 있는 위성은 걸림돌이 있어 위험을 무시할 수 없다.

지구 주위에 괘도에 따라 각각 막대한 수의 ‘#인공위성*’이 돌고 있다. 부서진 위성을 포함해 파괴된 위성 쓰레기가 괘도를 돌고 있다.

‘#우주정거장(ISS)*’를 포함해 기존 위성이 우주쓰레기로 인한 위험성은 날로 증가하고 있다.

러시아가 15일 자국의 #첩보위성*을 요격했다. 감시 가능한 1500여 개의 파편과 수만 개의 작은 파편이 발생했다. 파편은 초속 7km의 빠른 속도로 돌아간다. 우주정거장이나 가동 중인 위성에 위협적인 존재다. 이번 파편을 우주인의 육안으로 볼 수 있었다고 한다. 러시아가 비난을 감수하면서 이번 자국 위성 파괴 성공은 또 다른 군사적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현재 위성요격에 성공한 나라는 미국 러시아 중국 인도 등 4개국이다.

상대국의 정찰위성을 파괴하면 그 나라는 장군이 된다. 현대전의 또 다른 전쟁 양상이 우주에서 꿈틀거리고 있다. 한국은 아직 인공위성을 발사하지 못하고 있다. 인공위성 요격은 더 먼 얘기다. 우리가 해야 할 숙제는 던져졌는데 이를 풀 지도자는 언제 맞을 것인가. 한국 대선이 4개월도 채 남지 않았다.

심운 2021.11.17 물

비고

  • 러시아가 15일 발사한 위성요격미사일(ASAT). 1982년 러시아가 발사한 480km의 고도 무선통신 포착 첩보위성 체리나 D(Tselna-D) 요격에 성공. 자해 400㎞의 고도에서 1시간에 한 번씩 지구를 돈다.

  • 우주정거장(ISS)은 고도 425km에 괘도를 갖는다. 16개국이 참가한 가운데 1988년 발사. 2024년까지 운영 예정. 현재 러시아 미국 독일인 우주베 행사가 머물고 있다.

  • 2021년 10월경을 기준으로 인공위성의 숫자가 5,866개 정도였는데 그중 절반 이상인 3,200개는 이미 사용기한 만료로 버려졌다.

  • 세르게이와 푸틴 러시아 국방장관

  • 2021.11.17. 중앙일보 기사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