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넷플릭스는 계정 하나로 타인과 공유하고 콘텐츠를 이용하는 행위에 대해 원천 차단하겠다는 정책을 예고했습니다. 콘텐츠 무단 시청을 막기 위한 본인 계정 테스트를 진행한다고 합니다.계정 확인 테스트는 유료가입자의 계정을 이용해 넷플릭스 콘텐츠를 이용하는 것을 막기 위한 조치입니다.

넷플릭스는 “이번 차단 테스트는 넷플릭스 계정을 실제 가진 사람이 시청할 권한을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라며 그동안 연결기기 대수에 제한을 뒀을 뿐 계정 내에 여러 프로필을 만들어 친구 등 지인들과 공유하는 것에 대해서는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는 입장입니다.
사실 넷플릭스는 다른 OTT(Over-The-Top) 서비스에 비해 콘텐츠나 요금체계, 사용성, 만족도 등이 상위에 있지만 ID 공유 비율이 높아 저렴한 비용으로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이 가장 매력적인 부분입니다.저도 웨이브나 왓챠, 쿠팡 플레이어 등을 이용해봤지만 사실 넷플릭스를 따라가기에는 아직 부족했습니다.
또 4회선까지 동시 접속이 가능하기 때문에 1인당 3700원 정도 내면 서비스를 이용했다는 점입니다.

실제로 넷플릭스 이용자의 61%는 가족, 친구 등 지인들과 비용을 나눠 지불하고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는 조사가 있습니다.저도 부모님과 형과 공유해서 이용하고 있습니다.

넷플릭스 약관에는 ‘모든 콘텐츠는 가족 구성원이 아닌 개인과 공유해서는 안 된다’고 명시돼 있지만 비밀번호 공유에 대해 특별한 조치를 취하지 않고 있습니다. 또, 이러한 점을 이용하여? 가입자 수를 2억 4천만 명이나 빠르게 늘렸는데 이제 와서 계정 공유를 차단하는 테스트를 진행한다는 건 좀 무리가 아닌가 싶습니다.
넷플릭스의 향후 전망은 최근 OTT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가 증가하면서 온라인 스트리밍 서비스 경쟁이 치열해지고 코로나로 인해 증가했던 가입자 수가 최근 야외활동이 재개되면서 백신 접종자 수가 점점 늘어나 급격히 줄어들 것이라는 관측이 있어 넷플릭스 측에서는 가입자를 다른 방향으로 늘리려는 정책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오히려 이런 점은 넷플릭스의 이탈을 가속화시킬 수 있다는 전망입니다.최근 넷플릭스 외에도 디즈니플러스, 디스커버리플러스, 파라마운트플러스 등 10여개 주요 OTT 업체들이 경쟁 중이며, 그중 디즈니플러스는 콘텐츠가 풍부하고 가격도 싸다며 넷플릭스를 빠르게 추격하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