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난주 오전 인포스톡 이슈 점검 대부분이 지수 하락과 관련된 내용이었다. Fed 긴축과 3월 미국 기준금이 인상 우려로 하락할 것이라는 게 대부분이었다. 지난주 금요일(1월 21일) 나스닥이 13768.92를 기록해 전고점 16212.23(11월 22일 기준)에 비해 15% 이상 하락했다.

https://www.ha nkyung.com/finance/article/2022012140006
www.hankyung.com

2. 넷플릭스 “2021년 4분기 실적 발표로 신규 가입자 증가 수가 예상보다 적어지면서 -21%로 하락 마감했다. 21년 4분기에 신규 가입자 수 828만명이 늘었는데 이 수치는 ‘2020년 4분기 증가한 신규 가입자 수 850만명에 못 미치는 수치였다. 시장이 넷플릭스 지표에서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지표가 신규 가입자 수다. 아마도 고정비는 높지만 변동비가 낮은 회사의 경우 신규 가입자 수가 늘어날수록 이익이 되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성장은 꺾이지 않았지만 둔화된 것 아니냐는 우려가 있어 보인다.
3. 넷플릭스가 찍은 397$는 2020년 4월 정도 주가 수준이다. 넷플릭스를 포트폴리오에 넣어두지 못한 게 아쉬운 이들이 많았지만 어떻게 보면 기회일 수 있다. 회사가 변한건 없고 변한건 내 마음이야.



4. 2021년 3월 미국 주식이 폭락하면서 미국 주식 시가총액 순위별 낙폭 현황을 구글 시트에 정리해뒀다. 이번에도 시가총액 순위별 낙폭 현황(22.1.21 기준)을 한 차례 정리해봤다.
10위권 내에서 테슬라와 엔비디아 시총 순위 상승이 두드러졌고 에너지 기업들의 시총 상승이 두드러졌다. 어쨌든 미국 주식 종목은 고점 대비 적게는 -1%대, 많게는 -47%나 하락했다.
2021년 3월 큰 폭 하락을 기회로 종목을 담았지만 좋은 결과로 이어졌다. 이번에는 금리 인상과 맞물려 있어 좋은 결과로 이어질지는 미지수다. 종목을 편입할지는 모르겠지만 절세계좌에서 인덱스 ETF는 원칙에 따라 투자하지 않을까 싶다.
#미국주식 #넷플릭스 #시가총액순위별 하락폭 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