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전 유성구 어린이들의 방문, 천문연구원 앞마당에서 천문학의 역사를 만나보세요.유성구 화암동에는 한국천문연구원이 있습니다 천문학은 가장 오래된 학문이라고 하지만 인류 역사상 가장 빨리 발달한 것은 매우 실용적인 이유 때문입니다. 규칙적으로 나타나는 천체현상을 통해 시간의 표준을 정하고, 이러한 사항이 농업, 어업, 그리고 일상생활에 직접 적용되는 학문이었기 때문입니다. 장거리 이동에 필수적인 정확한 위치추적도 천문학 지식이 바탕이 되었답니다.

한국천문연구원은 천문학의 삶에 유구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국가 천문대의 역할을 하고 있으며, 우주의 근원을 탐구하는 첨단 연구기관입니다. 천문연구원 주차장과 함께 있는 앞마당에는 과거에 어떻게 시간, 위치, 빛 등을 어떻게 측정했는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측정한다고 하면 측우기밖에 몰랐는데, 정말 다양한 관측 기기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연구원 내에서는 들어갈 수 없지만 앞마당은 볼 수 있고 건물에는 은하수 홀이 있습니다.1층에 카페 이용 가능하오니 참고해주세요.


역사에서만 배웠지만, 조선시대에 과학이 가장 발달했다고 하듯이 복원해 놓은 관측 장비들은 대부분 조선시대에 만들어진 것들이었어요. 그때 당시에 이걸 어떻게 만들었는지가 정말 궁금했대요. 뭔가 과학과 역사를 접하는 것 같은 기분이었어요
앞마당 중앙에는 규표가 있습니다. 태양이 남중했을 때 막대기의 그림자를 측정하여 1년의 길이를 특정하여 24기를 알아내기 위한 관측기기였다고 합니다. 8척과 40척의 크기가 있었는데, 이 중 8척의 규표를 실제 크기로 복원한 것입니다. 크기만 해도 정말 대단했어요.

그리고 여러 종류의 해시계를 만져볼 수 있었습니다 돌바다시계는 지금의 시계와 모양이 비슷했어요. 12개의 시각선이 새겨져 있는 가장 원시적인 해시계가랍니다. 일반인이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합니다.

앙부일구는 천구 모양을 본뜬 반구 모양의 해시계입니다. 시간과 계절을 동시에 알 수 있답니다. 세종대왕 때 만들어진 해시계가래요. 다른 박물관에서 볼 수 있는 것을 본따서 제작한 것이라고 들었는데, 이렇게 가까이에서 볼 수 있다니 정말 다행입니다.


十法池平一구와 圓柱形 1구대까지 있습니다. 조선후기서양과학의영향을받아서제작된부분도알수있었는데요. 십법지평일구의 경우 1700년 초에는 이렇게 해시계로 시간과 계절을 알았는데 어느새 300년이 지난 지금 모두가 쉽게 시계와 스마트폰으로 만날 수 있다는 게 과학의 신비함을 느꼈습니다.



가까이서 관측 기기, 천문기를 보면서 느낀 건 정말 디테일했다는 거예요 가까이서 보면 볼수록 감탄사가 절로 나왔습니다. 당시에 그렇게 만들어진 것이라는 사실이 정말 놀라웠어요.


견학하다 보면 정말 시간과 계절, 별자리 등을 관측하고 과학기술 발전의 토대가 되었던 천문학의 역사를 잠깐이나마 엿볼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천문연구원에는 위성 GPS 기준점이 있습니다. 이 기준점은 전 세계에 총 400가지가 있습니다. 한국에는두개가있고한국에위치한두지역의기준점으로활용되는것을보니왠지멋져보였어요. 국내 최초의 GPS 연구를 시작했고, 한국을 대표하는 천문 연구기관인 유성구에 자리잡고 있는 것을 보고 과학의 도시를 재확인할 수 있었습니다.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덕대로 776 한국천문연구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