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이라면 – 김한배 태양계가 200페이지의

우리가 본 태양계 모형이 사실이 아니라면?배신당하기도 하는 모양이다.하지만 사실대로 만들 수 없다면, 가능한 한 비슷한 모형으로 만들 수 밖에 없지 않은가!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 같다.

태양계가 200페이지짜리 책이면 사람에 비해 태양계는 엄청 커요태양이나 행성의 크기와 거리가 적힌 숫자를 아무리 봐도 느낄 수 없습니다.머릿속에서 그릴 수 있는 크기로 축소해보면 느낌이 오나요?태양계를 100억분의 1로 축소하면 우리가 상상하기에 적당한 크기가 됩니다.이때 태양의 지름은 약 14cm로 자몽의 크기가 큽니다.지구는 1.3mm 크기로 태양으로부터 15m 떨어져 있습니다.달은 0.35mm의 먼지 입자로 지구에서 3.8.cm 떨어져 있습니다.가장 큰 행성인 목성은 지름 1.4cm 콩의 크기로 태양으로부터 78m 거리에 있습니다.가장 먼 행성인 해왕성은 지름 4.8mm로 쌀알만 한 크기로 태양으로부터 450m 떨어져 있습니다.이렇게 축소된 태양계 모형은 지름 1km가 넘는 큰 공간에 자몽과 같은 태양을 중심으로 콩, 쌀, 좁쌀 크기의 행성들이 멀리 떨어져서 돌고 있는 모습입니다.태양의 크기를 자몽 크기로 줄였음에도 크기도 거리도 실제 비율에 맞는 태양계 축소 모형을 만들기 위해서는 최소한의 큰 공원이 필요합니다.p . 7

이런 광활한 우주를 저자는 우리에게 알리고 싶었던 모양이다.물론 책 한 권에 규모를 담지는 못했다.하지만 우리 마음이 빛보다 빠를 수도 있다고.천천히 페이지를 넘겨도 빛보다 빠르게 태양계 마을을 여행할 수 있다고.태양계를 느껴달라는 저자의 마음.충분히 알겠다.

그 뒤의 금성과 지구와 달의 크기에 비해 태양은 충분히 느껴진다.태양의 크기와 지구까지의 거리가…

그래도 화성 앞까지 행성 간 간격이 그리 넓지 않아 다행이다.천왕성에서 해왕성까지는 8페이지가 비어 있다.그 거리감이 그대로 전달된다.

정말 공허한 우주.

행성의 간격을 하늘 페이지에서 느끼게 해주어 때때로 우주에 관한 흥미로운 이야기를 해 준다.

우주인의 설명을 들으며 광활한 우주를 여행하고 있는 것 같다.태양계의 끝에, 우주비행사는 묻는다.U턴할 것인가, 아니면 직진할 것인가.

우리는 어떤 결정을 내려야 할지

그런데 나는 왜 이렇게 우주가 궁금하고 궁금할까?요즘 보이저가 얼마나 궁금한지 보이저가 태양계 밖에서 무엇을 보고 무엇을 하는지 상상해 보는데 쉽게 그려지지 않아 무척 답답하다.혼자… ㅎㅎㅎ

달이 지구에 떨어지면 어떻게 될까.이런 상상도 해보고…

왜 그래 진짜!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