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식·만성폐쇄성 폐질환 적정성 평가 결과 공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김성민, 이하 심사평가원)은 천식(8차), 만성폐쇄성폐질환(7차) 적정성 평가결과가 우수한 병원을 심사평가원 네티즌 및 이동통신 앱(건강정보)을 통해 28일 공개한다.천식과 만성폐쇄성 폐질환은 외래에서 효과적으로 진료가 이루어질 경우 질병 악화와 입원을 예방할 수 있는 만성호흡기질환이다.2019년 우리나라 천식의 19세 이상 유병률은 3.2%, 만성폐쇄성폐질환의 40세 이상 유병률은 12.7%, 65세 이상 25.6%로 나이가 들수록 높아졌다.2020년 인구 10만명당 만성하위질환 사망률은 65세 이상 66.0명으로 우리나라 사망원인 11위이다.(2020년 사망원인 통계, 통계청) 이에 대해 심사평가원은 만성호흡기질환자가 효과적인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연 1회 이상 폐기능검사 실시 ▲지속적인 외래진료를 통한 관리 ▲적절한 흡입치료제 처방 등을 평가했다.(폐기능검사 시행률) 만성호흡기질환의 조기 진단과 질환 관리를 위해서는 최소 1년에 한 번 이상 폐기능검사를 실시해야 한다.천식은 42.4%, 만성폐쇄성폐질환은 74.4%로 전년 대비 각각 5.5%, 1.7%p 증가해 꾸준히 향상되고 있다.(지속방문환자 비율) 합병증과 급성 악화를 예방하기 위해 지속적인 외래 관리가 필요하다.천식은 77.1%로 전년도에 비해 3.1%p 증가하고 만성폐쇄성 폐질환은 84.1%로 전년도와 비슷한 수준이며(흡입약제 처방환자 비율), 만성호흡기 질환은 진단 초기부터 적절한 흡입 약제를 사용하면 폐기능 개선 효과가 좋으며 중단 시 증상이 악화될 우려가 있으므로 지속적인 흡입약제의 사용이 필요하다.천식의 흡입 스테로이드 처방 환자 비율은 55.9%, 만성 폐쇄성 폐질환의 흡입기관지 확장제 처방 환자 비율은 88.6%로 전년보다 각각 11.7%, 3.4%p 증가했다.인구 10만 명당 한국의 만성호흡기질환 입원율(OECD2021)은 적정성 평가 도입 이후 점차 감소하는 추세로 개선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이 같은 평가결과 향상은 의료계와 심사평가원이 함께 개선방안을 모색해 국민들을 대상으로 꾸준히 홍보활동을 실시한 결과로 추정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천식 폐기능검사와 흡입약제 처방이 미흡해 심사평가원과 의료계는 호흡기 증상(가래 호흡곤란 등)이 있는 환자가 초기부터 진단받고 치료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안내와 홍보활동(포스터 배포)을 실시하고 있다.또 심사평가원은 전 병의원을 대상으로 평가하고 있으며 인근 병원에서 지속적인 관리를 받을 수 있도록 천식은 평가 결과가 양호한 의원 명단을, 만성 폐쇄성 폐질환은 전체 평가 대상 병원을 15등급으로 나눠 공개한다.만성호흡기질환 우수병원*은 천식은 1763곳, 만성폐쇄성폐질환은 369곳이며 비율이 각 3.2%p, 1.4%p 증가했다.이러한 우수병원은 총 2,004개소로 전국에 고루 분포하고 있으며, 이용환자 비율도 2014년 14.2%에서 2020년 30.0%로 증가하는 추세로 우수병원에 대한 인지도가 향상된 것으로 보인다.조미현 평가실장은 국민이 만성호흡기질환이 의심될 경우 동네 우수병원에서 조기 진단과 지속적인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우수 병원 확대를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며 앞으로도 천식만성폐쇄성폐질환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인식 개선을 위해 포스터 배포 등 대국민 홍보활동은 물론 적정성평가 우수병원에 선정증서도 제공하는 등 질 향상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이방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