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운전자 모니터링 기술 – 자율주행 가능 구간이 종료되는 등 특정 조건에 따라 자율주행 자동차의 제어권이 시스템에서 운전자에게 이양될 경우 주행 안전성은 운전자의 상태에 의존적이므로 지속적으로 운전자를 측정하고 제어권 전환 안전성에 대해 예측하는 기술
운전자의 상태를 추정하기 위한 정보 – 운전자 : 심전도, 머리 움직임, 손동작, 시선, 호흡 등 – 차량 : 속도, 조향각, 차선간격, 브레이크 배짱 등 – 환경 : 앞차와의 거리, 도로곡률, 주변차 위치 등
운전자 모니터링 기술 동향-운전자의 내면적 상태를 측정하기 위해 뇌파, 호흡, 피부 전도도 등 비접촉 방식으로 운전자의 생리 신호를 측정하는 기술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운전자 인적 요인 분석 기술-레벨3 자율주행의 경우 시스템에서 운전자로의 제어권 전환이 필요하며 인적 오류로 인한 위험성이 있는-운전 준비도에 맞춰 제어권 전환 등이 이뤄져야 한다.- 운전준비도는 운전자의 기본적인 정보와 실시간으로 관측되는 운전자의 행동정보를 바탕으로 시간에 따른 운전자의 자율주행차 수동운전에 대한 안전한 운전가능성 표시 – 운전자의 연령, 성별, 상황인지, 주의, 작업부하, 활동성, 예상추돌시간 등 분석

(출처) [주간기술동향] 자율주행자동차(레벨2,3) 기반 드라이버 인적요인 융합기술 동향 http://www.itfind.or.kr/publication/regular/weeklytrend/weekly/list.do?selectedId=1138 기획시리즈 – 자율주행자동차(레벨2,3) 기반 드라이버 인적요인 융합기술 동향 ICT 신기술 – 블록체인 요소기술 및 전자문서서비스 동향 ICT R&D 동향 – 프로그래밍 가능한 네트워크 가상화에서의 흐름규칙 가상화기술-10Gb/s 및 25Gb/s급 오류정정기술 www.itfind.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