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농증(부비강염) 증상의 원인과 수술치료, 감기합병증

축농증 전문용어로 #부비강염 축농증의 증상이나 원인, 수술과 치료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코로나로 바쁜 일정을 보내 포스팅을 시작하겠습니다.
축농증(부비강염)이란 무엇일까?
코 주위에 있던 두개골 안에 빈 공간이 있었는데요. 그것을 부비동이라고 합니다. 염증이 생기는 상태를 축농증이라고 합니다. 부비강은 얇은 점막에 싸여 있습니다. 공기가 들어가 있기 때문에 콧속 개구부, 즉 작은 구멍으로 연결되어 있어 콧속으로 환기가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부비강 내 점막에서 생기는 점액, 즉 콧물이 섬모라는 점막에 붙어 있던 솔과 같은 구조물에 의해 작은 부비강 개구부를 통해 배출됩니다. 이런 부비강에 염증이 생기면 뼈로 된 부비강을 덮고 있던 점막이 붓게 되고 부비강의 개구부를 막아 화농성 비루(노란 콧물)가 쌓입니다.
축농증 증상
축농증 증상으로 급성기에는 두통, 코막힘, 화농성 콧물, 안면통, 미열 등의 다양한 증상을 보이며 만성기에는 코막힘이나 지속적 화농성 비루, 코에서 목으로 넘어가는 코담 등이 생깁니다.
증상이 3주 이내에 지속될 경우 급성 부비강염이 3개월 이상이면 만성 부비강염으로 분류됩니다. 이런 증상이 진행되면 후각이 감퇴되고 만성 기침이 나올 수 있었습니다. 두통이 있고 집중력이 저하되어 중이염이나 기관지염을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축농증의 원인
축농증의 원인을 살펴보면 급성 축농증이 감기 합병증으로 많이 발생하게 됩니다. 감기가 계속되고 코 점막이 부어 오르면 입구가 매우 작은 부비강 개구부가 부어오른 코 점막에 의해 막히기 쉽습니다. 부비강 내 콧물이 빠져나오지 못하고 부비강 안에 쌓이면서 코 안쪽에 있던 세균이 감염돼 고름이 만들어지는 염증이 생깁니다. 따라서 감기 증상은 일주일 이상 지속되며 노란 콧물이 나오게 되면 축농증을 의심해봐야 합니다.
#축농증의원인 #감기합병증 #노란콧물 #급성축농증
비염이나 비중격 만곡증, 물집처럼 콧속 환기가 저하되고 부비강 개구부가 막히기 쉬워진 상태에서 축농증이 일어나기 쉽습니다. 기온과 습도의 변화, 대기오염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비염 #비중격만곡증 #비용 #물혹
또한 담배나 술, 건조한 공기 등이 코 안쪽 점막을 건조시켜 코의 자연적인 청소 능력을 저하시킵니다. 그러면 축농증이 악화될 수 있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축농증 치료
#측농증치료 #축농증수술 #축농증약 #부비강염치료 #부비강염수술 #부비강염약 #만성축농증 #급성축농증
축농증 치료가 부비강의 환기나 부비강에서 만들어지는 분비물의 배출을 원활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급성 축농증이 약물치료
급성 축농증 치료는 항생제를 포함하여 약물치료를 우선합니다. 끈적끈적하던 노란 콧물이 얇아지거나 양이 줄어들고 코 막히는 상태가 개선되어 호전의 정도를 알 수 있습니다. 보통은 10~14일 정도의 약물치료가 필요합니다.
또한 생리식염수를 이용하여 비강 세척 등으로 개선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면역 기능에 이상이 있거나 알레르기 소인이 있는 경우, 아데노이드 비대증이 동반된 소아의 경우 약물치료 기간이 길어질 수 있습니다.
수술적 치료가 필요했던 만성 축농증
급성 축농증이 반복되면 만성 축농증으로 발전하기 쉽습니다. 항생제를 포함하여 2~3개월간 약물치료에 반응하지 않았던 축농증과 비용(물혹)이 동반되는 경우, 코 안쪽 구조적인 이상으로 인해 생기는 축농증의 경우에는 수술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만성 축농증 수술이라면 일반적으로 코내시경을 이용해 병변을 직접 확인하고 수술을 시행해 보다 안전하고 정확하게 수술할 수 있습니다. 축농증이 자주 재발하게 되면 수술적인 치료도 생각해야 했습니다.
축농증이나 비염을 상당히 혼란스럽기도 했어요. 축농증이 코 주위에 있던 두개골 내부의 비강에 염증이 있던 상태 비염이 코 안쪽 구조인 하비갑개에 염증이 있던 상태를 말합니다. 축농증이나 비염은 숨을 쉴 때마다 매우 힘들고 고생하는 분들이 많았는데 빨리 낫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