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 프론트 엔드 포트폴리오 제작 요령【깃허브 사용법】깃허브에 코드를 싣는다

github은 정말 개발자에게 필수라고 생각해현업에서는 「git」를 사용하고 있지만, 커맨드는 같기 때문에 사실상 거의 같다고 말할 수 있다.당연히 서로 다른 점이 있지만 git가 회사 단위로 많이 사용하고, github이 중소형 프로젝트 혹은 개인의 포트폴리오용으로 사용한다고 생각하면 편할 것이다.그러므로 github을 평소에 공부해 두면 회사에서 git을 사용할 때도 큰 도움이 된다는 점이다.

요즘은 작업 결과를 코드로 확인하는 것을 선호하기 때문에 이력서와 함께 날개깃 아이디 url을 제출하는 일이 많다.그런데 이 과정이 처음엔 비전공자 출신인 내게는 어려웠다.웹사이트가 전부 영어로 되어버린 것은 더욱 나를 괴롭혔다.단순히 내가 했던 결과를 메인허브에 올리고 싶은 것뿐인데 이렇게 힘든 일이라니

하지만 최근 복제코딩 강의를 들으면서 깃합에 코드를 얹는 간단한 방법을 발견했다.기허브의 명령은 처음부터 다 외울 생각을 하니 너무 어렵다.그러니 간단하게 자신의 날개허브에 프로젝트를 올리는 방법과 코드를 변경한 후에 날개허브에 저장하는 방법만 알아도 절반은 알 수 있게 되었다고 생각한다? 그렇다면 시작해보자!

▲자기 프로젝트를 깃발 허브에 올리는 방법=깃발 허브에 왜 코드를 싣나. 간단하게 생각해 구글 드라이브에 코드를 올린다고 생각하자.자신의 컴퓨터에서만 보는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도 이 코드를 볼 수 있어 이 코드를 다른 컴퓨터에서 쉽게 로드해 사용할 수 있다.프로젝트 공간을 함께 쓸 수 있다는 것인데 이 때문에 협업 툴로 불린다.이 프로젝트 공간을 “Repository”라고 부른다. 한국어로는 레퍼토리 이 공간을 만드는 방법을 소개한다.모든 것은 비주얼 스튜디오 코드(리액트, 프론트 엔드)를 기초로 작성한다.

아, 그 전에 당연히 git은 설치해야겠어요. ? git공식 사이트 About The advantages of Git compared to other source control systems. Documentation Command reference pages, Pro Git book content, videos and other material. Downloads GUI clients and binary releases for all major platforms. Community Get involved!Bug reporting, mailing list, chat, development and …git-scm.com+추가로 Node.js와 NPM도 깔아야 한다.

?git 밑받침 상태 cmd(윈도 : 명령 프롬프트 / 맥 : 터미널)에서 확인하는 방법

첫째, Repository 작성

new 버튼을 누른다.

꼭 필요한 것을 파란색 화살표로 G uide 해놓았다.? Repository 이름을 작성한다.? “여기서 나만 본다!” 가 아니면 대부분 public으로 생성한다.? Add a README file은 권장을, Add.gitignore는 즉시 알아두는 개념이 아니므로 없어도 된다.

? README 란 ?

Repository의 대략적인 내용을 정리할 수 있는 메모장 같은 공간이다.포트폴리오로서 사용할 경우에는 이 페이지를 사용하도록 권한다.그 이유는 화면처럼 내가 어떤 프로젝트를 진행했는지 깔끔하게 작성하기 쉽고 링크가 붙어 이 기술을 코드로 이렇게 구현했습니다라는 것을 보여 주는 것도 좋기 때문이다.우측 상단을 수정하는 연필모양의 버튼을 누르면 생성된다.작성방법은 다소 생소할 수 있지만 알았다면 마크다운으로 작성해야 한다.

위의 결과물을 마크다운으로 작성한 것을 캡처했다. —,#,> 등 조금 낯설어 보이는 기호들이 있지만 마크다운으로 작성하는 방법은 해당 사이트에 자주 나와있으니 이 사이트를 참고하시면서 작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 마크 다운의 사용법 마크 다운 (Markdown)의 사용법. GitHub Gist : instantly sharecode, notes, and snippets.gist.github.com 참조로 이모지도 추가하면 됨 ? 윈도 이모지 사용법 (숏컷) : Ctrl + 맥모지 사용법 (숏컷) : Space : Cmd + Control +

README 파일을 생성하지 말라고 표시되는 디폴트값 README 파일을 생성하지 않으면 해당 디폴트값으로 설정된다.여기서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는 곳은 자신의 Repository 저장소 URL 이다.자신의 코드가 저장되는 공간이라고 할 수 있고 중요한 URL이다.4단계로 사용되니 알아두자!

둘째, 올릴 프로젝트 터미널을 연다.

자신이 올리는 프로젝트를 오른쪽 클릭한 뒤 통합터미널에서 열기를 누른다.나 같은 경우에는 nwitter라는 파일을 올리기 때문에 nwitter 파일의 오른쪽 버튼을 선택했다.

셋째, 옷깃의 초기화를 위해 터미널에서 git in it ? 여기서부터는 모두 통합 터미널내에서 이루어진다.당시 두 번째 프로젝트를 시작했기 때문에 git in it에 대한 캡처는 하지 않았다.터미널에 해당 문장을 쓰고 git를 초기화 시킨다.넷째, github 저장소와 연동시키는

아까 기억해 두라고 했던 Repository URL을 명령어와 함께 붙여 쓴 뒤 엔터테인먼트한다.

다섯 번째 github에 올릴 파일을 지정할 때 모든 파일을 올리므로 모든 파일을 지정해 줄 gitadd.를 입력한다.여기서 주의해야 할 점은 git add 띄어쓰기다!!! 그냥 gitadd.가 아니다❌

여섯 번째, 커밋 진행하기

올릴 파일을 지정했으면 저장해야 합니다! 저장할 작업을 커밋으로 생각하면 편하다 일곱 번째 github에 push하고 코드를 넣는다

저장하면 제 Repository에 넣을게요!그것을 PUSH라고 부른다.

즉, add와 commit, push의 순서로 작성해야 한다. 요약하면, 1. git add 올릴 파일 지정 (모든 파일을 올릴 경우 git add.) ? 어떤 파일을 올릴지 지정함 ? 만약 index.js 만 올리고 싶은 경우, git addindex.js “를 올릴지 지정함 ? git pommit에 올릴 메시지를 통해 git adddex.js를 작성한다는 의미 2. git

짜잔?그러면 이렇게 자신의 저장소에 모든 코드가 들어가게 된다.이제 내 컴퓨터는 갑자기 상태가 나빠졌지만, 내 코드는 이 날개허브 사이트에 완전히 저장되어 있다. 다른 사람이 내 코드를 보면서 내 실력을 평가할 수도 있다!! ? 그렇다면… 만약 내가 다른 컴퓨터로 이 프로젝트를 받고 싶다면?

기허브 프로젝트를 컴퓨터로 수신하는 방법

첫 번째 Repository URL을 복사하여 clone 하는 아까 중요한 url과 언급한 Repository URL을 복사한 후 자신이 받고자 하는 환경에 “통합터미널 열기”를 실행한 후 클론한다.둘째, 노드_modules를 설치한다.

?클론한 지 얼마 안 된 nwitter에는 node_modules가 없다.

복제를 한 후에 해야 할 작업이 있어.node_modules를 설치하는 것인데, git에는 자동적으로 node_modules를 제외한 코드만이 들어간다.그 이유는 node_modules가 매우 무겁기 때문이다. 이 방식은 쉬운 아래의 캡처본을 기준으로 nwitter 부분에서 “통합 터미널 열기”를 실행하여 아래의 명령어를 작성한다.그렇게 하면 클론은 완료!

클론 프로젝트를 다시 연동시킬 때만 클론 받아온 컴퓨터라도 작업을 하고 싶다면 먼저 한 가지 작업을 하면 된다.이제 막 실행해 보니

? 1 . git init 2 . git add . 3 . git commit – m ” 커밋 메세지 ” 4 . git push origin master

그러면 여기서도 마찬가지로 push작업을 진행하면서 다른 컴퓨터로 같은 작업이 가능하다! (원래 앞에서는 init 후 gitremote 해 주었지만 이미 클론을 해 왔기 때문에 gitremote는 필요없는것 같다)

이 정도라면 칼라허브 정도는 마스터! 이상, 프론트엔드의 날개허브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조사해 보았습니다.혹시 모르는 거 있으시면 댓글 달아주세요.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