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아지 예방접종 주기
강아지 예방접종 주기
![](https://www.k-health.com/news/photo/201901/41720_32087_3026.jpg)
1. 개의 예방 접종을 권장 주기 DHPPL:종합 백신으로, 디스템퍼·개 전염성 간염·파보 바이러스·파라 인플루엔자, 렙토스피라증 백신을 포함 ① 백신 1차, 생후 6주:종합 백신 DHPPL1차+코로나 장염 백신 1차 ② 백신 2차, 생후 8주:종합 백신 DHPPL2차+코로나 장염 백신 2차 ③ 백신 3차, 생후 10주:종합 백신 DHPL3차+개의 기관지 염 백신 1차 ④ 백신 4차, 생후 12주:종합 백신 DHPPL4차+개의 기관지 염 백신 5차+개의 기관지 염 백신 5차+신형 후 16주:광견병 백신 1차+신종 플루 백신 2차 5차 접종 완료 후 2주 후에 항체 역가 검사 실시 2)내부·외부 기생충 예방 약 주기 ① 내부 구충 내부 구충 약은 백신 예방 접종 2주 전에 복용하면 장내 기생충을 제거하고와큐틴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그녀나 구어:생후 2주일 이상~3개월령 2주 간격으로 복용 ② 심장 사상충+내부, 외부 기생충 예방 약 심장 사상충 예방 약은 투여 전에 심장 사상충 감염 여부를 검사하며 연중 월 1회 투여한다. <심장 사상충 예방 약의 종류>심장 사상충 예방 약은 기생충의 감염을 예방하는 것이 아니라, 증상 발생을 예방하는 것이다 마음 가드 플러스:생후 6주령 이상, 월 1회 복용 넥스가ー도스펙토라:생후 8주령·2kg이상, 월 1회 복용 루션:생후 7주령 이상, 월 1회 적용 아도보켓토:생후 7주령 이상, 월 1회 적용 심퍼 리카 트리오:생후 6개월 령 이상, 월 1회 복용 ③ 외부 기생충 예방 약 벼룩, 진드기, 이것 등을 예방할 수 있다.예방 약 주기는 기생 어린이의 경기에 먹는 약마다 다르므로 확인해야 하며 정기는 연중에 월 1회 또는 3달에 1회 투여한다. 프런트 라인 플러스:생후 8주·2kg이상, 월 1회 적용 브라벡토:생후 8주·2kg이상 3개월에 1회 복용 심퍼 리카:생후 6개월·1.3kg이상, 월 1회 복용 아도발티크스:생후 7주·1.5kg이상, 월 1회 적용 강아지의 백신 접종 종류 9종류
2.ICH/Infectious Canine Hepatitis/개 전염성 간염(1)감염 경로 CAV-1(개 아데노 바이러스 1형)에 감염된 개들의 대소변, 침 등 분비물을 통해서 배출되며 감염된 동물의 직접적인 접촉 오염된 환경(물, 음식, 기구 등)의 간접적 접촉으로 감염하고 입이나 코에서 침투하는(2)증세 개 전염성 간염은성이 약한 질환에서 성 개의 감염 때 증상이 없거나 아주 경미하고 치료 없이 회복할 수도 있다가 있다가 있지만 급성 반응이 발생하고 감염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전신적인 감염 증상이 나타나고 개 디스템퍼 바이러스와 비슷한 증상이 나타나는 ① 5일의 잠복기 후의 감염 증세 식욕 저하 안구 증상:결막염, 눈의 충혈, 각막 혼탁 호흡기 증상:발열, 콧물 등 소화기 증상:구토, 설사, 혈변 구강 증상:편도선의 부어 오르자 입 끈기막의 출혈 정도에 의해서 급성 간 질환, 황달, 간 비대증으로 인한 복부 통증이 나타나는 일이 있는 ② 감염 7일 후의 회복기 블루 아이 증상:개 전염성 감염의 증상이 회복하고 눈의 각막이 흰 또는 종종 푸르다.)치료 ICH은 아데노 바이러스 감염증으로 치료법이 없지만 사망률이 10%로성이 약한 질환으로 대체로 치료가 쉽고 비교적 백신 방어가 좋은 질환이다.그러나 개과 개체의 전염성이 매우 강한 ① 항생제, 면역 증강제 ② 대사 촉진제, 소화제 투여에 의한 간 회복 치료 ③ 증상에 따른 대증 치료 진행 ex)수액 처치, 진통제, 출혈 및 빈혈 증세 때 필요에 응하고 수혈 처치 ④ ICH는 회복 후에도 6개월 동안 오줌으로 배출 하이포아 염소산 나트륨으로 철저한 소독이 진행돼야 한다.
![](https://www.korea.kr/newsWeb/resources/attaches/2022.02/16/d07bf0e5cbae57dc4f36fa64f62c26fc.jpg)
3. CPV/Canine Pavovirus infection/개의 파보 장염(1)감염 경로 개 파보 장염은 집단 사육하는 장소나 야외 생활하는 개에 많이 나타나고 파보 바이러스는 감염된 개의 배설물을 통해서 배출된다.감염된 동물의 배설물 접촉 오염된 환경(물, 음식, 기구 등)에 의한 경구 감염(2)증상의 전파 바이러스는 혈액 중의 모든 백혈구를 감소시키고 심한 장염을 내 염력과 사망률이 매우 높은 질병이다. 개파 세포 장염은 3개월 이하의 어린 강아지에게 많이 나타나고 특히 어린 강아지, 백신 아직 접종 개체에 극심한 증상이 나타나지만 나이에 관계 없이 자주 발생하는*카이 파생보 장염은 치사율이 높은 병이지만 증상이 미약한 경우는 2-3일 이내에 회복하는 경우도 있는 ① 생후 3주-8주-8주 내에 급성 호흡 부전으로 회색성 설사, 혈액성 설사가 나타났다(3)예방:개의 종합 백신 DHPPL5차 접종 후 매년 보강 접종(4)진단:CPV검사(4)치료 개 파호 장염은 치료 시기가 늦어질수록 치사율이 높아지면서 대변을 통해서 전염되어 철저히 격리가 필요하다 ① 강아지 파호 장염은 설사로 인한 탈수로 24시간-48시간 이내에 사망하는 경우가 많아 탈수를 막기 위한 수액 조치 및 항구 흙제가 중요하다 ② 항생제, 면역 증강제로 인한 두차 세균 감염을 막는 ③차 아염소산 나트륨(철저히 소독이 중요하다.)화ー보 바이러스는 저항성이 매우 강하며 일반적인 소독에서는 효과가 기대하지 못하고 회복 후에도 대변을 통해서 배출된 바이러스는 외부 환경에서 몇개월~1년간 생존할 수 있어 추가 전염을 막기 위해서 하이포아 염소산 나트륨에 의한 철저한 소독이 필요하다.
4. CPI/Canine Parainfluenza infection/개 감기(1)감염 경로 파라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개체의 비말 감염 또는 호흡기 분비물과 접촉에 의한 감염하고 개, 고양이, 쥐, 원숭이 등에도 감염한다(2)증세 파라 인플루엔자는 면역력이나 기관지가 약해진 때에 주의해야 한다.발열, 눈 점막의 충혈, 체중 감소 콧물, 재채기, 심한 폐렴(3)예방:개 종합 백신 DHPPL5차 접종 후 매년 보강 접종(4)치료 CPI는 치사율이 5%이하지만 파라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개의 기관지 염의 원인이 되며 전염성이 높기 때문에 빨리 치료가 중요하다 ① 항생제, 면역 증강제 ② 해열제 ③ 전염성이 높기 때문에 다른 개체와 격리 및 소독이 필요하다.
![](http://image.dongascience.com/Photo/2016/11/14787852197048.jpg)
5.Canine Leptospirosis렙토스피라증(1)감염 경로 렙토스파이라증 세균에 감염되고 싶고 치아류, 쥐의 소변의 상처 등을 통해서 직접 접촉 야외 활동 시, 렙토스피라 세균으로 오염된 환경(사료, 지하수, 하천, 호수, 토양 등)을 통해서 감염 감염된 개체의 개, 돼지, 소 같은 가축이나 야생 동물의 직접 접촉(2)증세 렙토스피라 세균은 활발하게 움직이는 세균으로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는 ① 소화 기관 출혈성 질환:식욕 부진, 설사, 설사, 설사, 설사, 설사, 고열 혈뇨 증상이 나타나는 ④ 폐렴 및 뇌막염의 증상 ⑤ 심한 경우 구강 점막 궤양, 출혈성 설사, 저 체온으로 며칠 안에 사망한다(3)예방:개 종합 백신 DHPPL5차 접종 후 매년 보강 접종(4)치료 북극, 남극을 제외하고 어디서나 발생하며, 따뜻한 7~10월에 자주 발생하는 인수 공통 감염증인 ① 항생제, 면역 증강제를 통해서 레프토스피레 세균 억제 ② 해열제 ③ 증상에 따른 대증 치료 ex)수액 처치, 황달 증상 완화 치료 등 철저한 격리 증상은 ④ 감염증 치료
6.CCV, CCoV/Canine Coronavirus infection/개의 코로나 장염(1)감염 경로 분변을 통해서 배출된 파보우일스의 직접적인 접촉 또는 오염된 사료, 물 등의 환경을 통해서 감염된다.번식장 등 많은 개체가 함께 보내는 환경에서 잘 발생한다(2)증세 주로 생후 4주 16주의 어린 강아지가 감염하며 전염성은 강하지만 단독 감염과 사망률이 낮다. 또, 감염 후 48시간 이내에 증상이 나타나지만 미약하고 임상 증상만으로 확진하기 어렵기 때문에 초기 발견이 중요하다 잠복 기간 내인. ① 잠복 기간 내 코로나 코로나 바이러스의 파보우일스과 다른 점열과 혈변이 상대적으로 약한 발생하고 어떤 때는 복부에 가스가 차서 복부의 통증을 일으키는(3)예방:코로나 장염 백신 2차 접종 후 매년 보강 접종(4)치료 코로나 장염은 단독 감염 때 사망률은 낮지만 파보우일스과 혼합 감염할 경우 증상을 악화시키는 ① 항생제, 면역 증강제로 인한 이차 감염을 방지하는 ② 수액 조치 및 항 토하게 하는 약에 의한 탈수를 방지한다. ③ 하이포아 염소산 나트륨에 의한 철저 소독:코로나 바이러스는 실온에서 감염된 개의 배설물 안에 있는 병원체는 6개월 이상 전파력을 갖고 있는 ④ 코로나 장염은 회복 후 회복한 개체에 다시 전염되지 않는다
![](https://www.k-health.com/news/photo/201901/41720_32086_3026.jpg)
7. 개의 기관지 염 kennel cough을 피워전염성 기관지 염 Canine infectious tracheobronchitis(1)감염 경로 bordetellabronchiseptica보데테레브롱세프티카 세균의 공기에 의한 감염이 진행된다.번식장 및 보호소 같은 환기가 잘 되지 않고 청결하지 않은 곳에서 감염(2)증세 전염성이 매우 강한 급성 호흡기 질환으로, 파라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와 복합 감염으로 증세가 발생한다. 어린 개의 감기 증상은 개 전염성 기관지 염에 감염하는 경우가 많아 주로 어린 개체에 심한 증상이 나타난다. 늙은 개도 감염된다.발열 수양성 비염과 폭발적인 건성 기침이 심한 경우 연속 기침 후의 구토 정도로 폐렴:2차 감염에 의해서 고열이 발생하고 정상화하고 세균에 의한 폐렴이 발생한다(3)예방:개 전염성 모세 기관지 염 2차 접종 후 매년 보강 접종(4)치료 ① 개 전염성 기관지 염증 초기의 경우, 항균제, 면역 증강제, 해열제 등을 투여하고 증상 완화 및 2차 감염을 막는 ② 개 전염성 기관지 염도 또 전염성이 매우 강한 만큼 철저한 격리 및 소독이 중요하다.
7. 케네르코프 kennel cough 개전염성 기관지염 Canine infectious tracheobronchitis (1) 감염경로 bordetellabronchiseptica 보데텔레브론셉티카 세균의 공기에 의한 감염이 이루어진다.번식장 및 보호소와 같은 환기가 잘 되지 않아 청결하지 못한 곳에서 감염되는 (2) 증상 전염성이 매우 강한 급성 호흡기 질환으로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와 복합 감염으로 증상이 발생한다. 어린 개의 감기 증상은 개 전염성 기관지염에 감염되는 경우가 많으며 주로 어린 개체에게 심한 증상이 나타난다 * 나이든 개도 감염된다.발열수양성 비염과 폭발적인 건성 기침이 심한 경우 연속 기침 후 구토 정도에 따라 폐렴:2차 감염에 의해 고열이 발생하며 정상화되어 세균에 의한 폐렴이 발생한다(3) 예방: 개 전염성 기관지염 2차 접종 후 매년 보강접종(4) 치료① 개 전염성 기관지염 증상 초기의 경우 항균제, 면역증강제, 해열제 등을 투여하여 증상완화 및 2차 감염을 방지한다② 개 전염성 기관지염 또한 전염성이 매우 강하기 때문에 철저한 격리 및 소독이 중요하다.
![](http://www.namc.co.kr/data/cheditor4/1707/4e4ca8178223a949dbed17b87d07eb68_1500515768.2956.jpg)
9.Canine influenza/개 인플루엔자, 신종 플루(1)감염 경로 인플루엔자는 말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인 H3N8 같은 influenza virus A의 변종으로 발생하는 개에서 발병을 유발하는 것이 밝혀졌다(2)증세 개의 신종 플루는 상부 호흡기 질환 감염증으로 단독 감염 시 치사율은 낮지만 2차 감염의 경우 치료가 되지 않을 경우 치사율이 50%가 된 ① 잠복 기간 약 2-5일 ② 상부 호흡기 질환의 증상:고열, 발열, 기침 및 폐렴 예방 접종(예방 접종)매년 2차 예방 접종을 새침하다 ③ 전염성이 높으므로 다른 개체와 격리하고 소독을 실시. 신종 인플루엔자는 개는 그동안 노출된 경험이 없는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이 없어 신종 플루 감염 때 다른 개체와 함께 생활할 경우, 전염시킬 가능성가 매우 높다. 백신이 개발되지 않은 전염성 질병
9.Canine influenza/개 인플루엔자, 신종 플루(1)감염 경로 인플루엔자는 말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인 H3N8 같은 influenza virus A의 변종으로 발생하는 개에서 발병을 유발하는 것이 밝혀졌다(2)증세 개의 신종 플루는 상부 호흡기 질환 감염증으로 단독 감염 시 치사율은 낮지만 2차 감염의 경우 치료가 되지 않을 경우 치사율이 50%가 된 ① 잠복 기간 약 2-5일 ② 상부 호흡기 질환의 증상:고열, 발열, 기침 및 폐렴 예방 접종(예방 접종)매년 2차 예방 접종을 새침하다 ③ 전염성이 높으므로 다른 개체와 격리하고 소독을 실시. 신종 인플루엔자는 개는 그동안 노출된 경험이 없는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이 없어 신종 플루 감염 때 다른 개체와 함께 생활할 경우, 전염시킬 가능성가 매우 높다. 백신이 개발되지 않은 전염성 질병
![](https://petnolza.com/wp-content/uploads/2021/07/dog-vaccination.jpg)
2.Canine brucellosis개 브루셀라 병(1)감염 경로 유산 태아, 양수, 질 분비물 같은 유산형의 경구·호흡기·접촉을 통해서 감염 브루셀라 세균에 감염된 임신하지 않은 암캐의 자궁 분비물 또는 소변을 통해서 감염 교미를 통한 생식기 감염 → 감염 3주-11주일 후에 정액을 통해서 배출되는(2)증세 전 세계적으로 발생하는 인수 공통 감염증으로 유산을 제외한 증상이 평소 나가지 않고, 진단 및 감염 유무의 파악이 매우 어렵게 ① 임신한 암캐:임신 중 임신 중 임신 중 임신 중 임신 중의 개:배출하는 더블 세라 세균은 잠복 기간은 짧게는 3주 1년 이상이며, 감염 후 1~4주 이내에 균 혈증이 발생하고 최소 6개월~64개월 간 간헐적으로 균 혈증 증세 몸집을 유지하고 균을 지속적으로 배출한다.또, 브루셀라 세균은 혈액을 통해서 장기에 이동하고 병변을 유발하고 관절염, 골수염, 수막염, 포도막염이 발생할 수 있고 만성 감염 때 척추의 통증, 사지 마비, 보행 장애 증세가 나타난다.③ 수캐:부·고환염, 고환 위축, 관절염 등의 증상이 발생한다(3)예방 브루셀라 세균은 일반 살균제에 쉽게 사멸되어 주변 환경과 유산 물질의 철저한 소독이 중요하다(4)치료 브루셀라 세균은 세포 내 기생하는 치료가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