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진피해의 종류
지진해일 피해(2011년 3월 이와테현 오후나토시의 모습) 직집 피해 지반 진동 및 지반 파열-넓은 지역에 걸친 지반 진동과 지반 파열에 의해 건물, 교량, 댐, 터널, 송수관, 가스 배관 등의 구조물이 피해를 입거나 붕괴된다.인구밀도가 높은 도시지역에서 피해가 크게 나타난다.지반의 융기와 침하-지진의 영향으로 지반이 융기하거나 침강하는 지표의 수직적 변위에 의해 시설물이 파괴된다.예) 1964년 알래스카 대지진 때 융기와 침하에 의한 큰 피해 발생 → 2차 피해 → 산사태 – 지진 진동에 의해 불안정한 사면의 퇴적물이 흘러내려 사태가 발생한다.예) 1970년 페루에서 일어난 지진으로 마을이 매몰되는 큰 피해 발생 액상화-저지 퇴적층 또는 모래 지반이 고체 상태에서 액체 상태로 바뀌는 현상이다.- 퇴적층이 유동성을 갖게 되어 건물이 기울어지거나 퇴적물 속으로 침강한다.쓰나미-대규모 해저지진으로 생긴 해저지각의 급상승 또는 침강으로 해수면이 수직으로 변동하는 현상이다.- 발생지에서 수천km 떨어진 곳까지 재난을 일으킬 수 있다.예) 2004년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에서 지진으로 인한 지진해일로 큰 피해가 발생, 화재지반의 강한 진동으로 전력과 가스배관이 파괴되고 배출된 가스에 의해 화재가 발생한다.질병 지진에 따른 하수도관 등의 파괴로 오염된 물이나 죽은 동물 등의 처리를 빨리 하지 못해 위생에 문제가 생기고 질병이 발생한다.
▲지진해일 발생=”해일 발생:해저에서 발생하는 지진이 바닷물을 위로 밀어내면서 해수면의 수위가 바뀐다”.
지진해일 발생 예상도 피해 정도: 지진해일은 수심이 깊은 대양에서 매우 빠른 속도로 이동해 피해가 크다.
2. 지진피해 대책(1) 시설물을 지을 때 활성단층 근처나 지진에 취약한 지역은 피한다 (2) 내진설계 강화 : 건물, 댐, 송유관 등의 시설물을 지을 때 지진에 잘 견딜 수 있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3) 전조현상 등을 통한 지진예보시스템 구축 : 지진 발생 전에 볼 수 있는 동물의 이상행동, 지하수면의 수위변화, 작은 지진의 발생수 변화 등
지진의 전조 증상 (4) 지진 경보 시스템의 구축: 지진 발생 초기에 피해를 예측해,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주요 시설에 대한 피해 예측, 부상자의 효율적인 병원 배분 등의 대응 시스템을 정비한다.(5) 지진 대처 방법 – 가스, 전기, 수도 차단 – 책상 밑으로 대피하고 머리 보호 – 안전한 장소에 대피 – 실외에서는 낙하하는 물체 주의 – 응급 처치 방법을 알아 둔다 3. 일본의 지진과 대책 일본은 플레이트 경계에서 비교적 멀리 떨어져 있으며, 지진 발생 빈도가 높지 않다. (1) 연간 평균적으로 발생하는 경보는 5번 이상 발생 경보는 5번 이상 발생하며, 지진 발생 경보는 5번 이상이다.
한국의 진원분포 육지인 북한 : 서부지역에서 지진 발생 빈도가 높다.우리나라: 주로 경상도 지역에서 지진 발생 빈도가 높다.육지의 동해와 서해에서 주로 발생하며 비교적 큰 지진은 동해 해안을 따라 많이 발생한다.
1.화산피해의 종류 직접피해 용암류 고온의 용암이 지표를 따라 흐르게 되어 도로 및 가옥을 파괴한다.예) 2002년 콩고니 라공고 화산 폭발로 인한 용암류로 14개 마을이 파괴됐다.화산재-화산재가 성층권에 올라 전 지구 상층대기를 따라 퍼지면서 태양광을 차단해 지구 평균기온을 낮춘다.- 수십 cm~수 m 두께로 주변 지역을 덮고 농작물 및 식생에 막대한 피해를 준다. – 호흡기 질환, 눈 가려움증 발생, 항공기 엔진 고장 등을 일으킨다.예)1815년인도네시아탄보라화산분화로기온이하강하면서여름이없는해가되었다.화산가스-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황화수소, 이산화황 등 유독한 화산가스가 가축과 사람을 질식사시키고 나무를 고사시킨다.예) 1986년 아프리카 카메룬에서 진한 이산화탄소 분출로 인축이 질식사했다.2차 피해 화산 쇄설물이 화산가스와 섞여 경사면을 따라 빠른 속도로 흘러내림으로써 짧은 시간에 큰 피해를 줄 수 있어 매우 위험하다.1902년 마르트니크의 서인도섬에서 펠레 화산 분출로 인한 화산 쇄설류에 의한 큰 피해 발생 화산 일류 화산 쇄설물이 많이 쌓여 있는 지역에 비가 올 경우 화산 쇄설물이 물과 섞여 저지대로 빠르게 흘러내림으로써 가옥 및 시설을 파괴한다.예) 1980년 세인트헬렌스 화산과 1985년 콜롬비아 네바도 델루이즈 화산의 폭발로 화산 이류가 형성돼 큰 피해 발생 산사태 화산 폭발로 취약해진 지반이 붕괴되면서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화재 고온의 용암 및 화산 분출물에 의해 불이 붙어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용암(왼쪽), 화산재(오른쪽), 용암류: 고온의 용암이 흘러내려 도로와 가옥을 파괴한다.화산재 : 두께 수십 cm~수 m로 쌓여 농작물이나 식생에 피해를 준다.
화산 쇄설류 및 화산 쇄설류: 화산 쇄설물이 화산 가스와 섞여 빠른 속도로 이동하여 동식물에 큰 피해를 준다.
2.화산피해의 대책 정확한 예측은 어렵지만 화산폭발 전에 나타나는 다양한 정보를 수집, 분석함으로써 분출시기와 강도를 확률적으로 예측하여 피해를 줄인다.지진활동 감시화산 분출 전 지진 발생 수와 지진 규모가 대폭 증가한다.화산가스 방출량 감시화산의 분출이 가까워지면 이산화탄소 이산화탄소 일산화황 일산화탄소 등 유독한 화산가스의 방출량이 크게 증가한다.지표면 경사 변화 감시 화산 분출 전에 지하 깊은 곳에서 지표면으로 상승하는 마그마에 의해서 분화구 주변이 부풀어 오른다.지표의 온도 변화 감시 화산 분출 전에 마그마의 상승에 의해, 화구 주변의 지표 온도가 상승하고, 화구 주변 온천의 수온이 상승한다.지표면경사변화에 의한 화산분출 예측: 하와이·킬라우에아 화산은 분출하기 전에 분화구 주변의 팽창으로 산정부가 기울어져 사면의 경사가 증가하였다.
참고자료 및 사진출처 – 동해 규모 6.6 지진시 쓰나미 영향 : 동아사이언스(dongascience.com) [제1권]해양과학기술의 현재와 미래 3판 –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의 사진관리DB시스템(kordi.re.kr) <한반도 쓰나미 대비 시간 ‘운명의 100분’> | 연합뉴스(yna.co.kr) 광안리 개미떼는 지진 전조 현상? 지진운, 심해, 새로운 증거들을 보면.. (donga.com)한반도 지진도 원전도 겹침 – :: 글로벌 녹색성장 미디어 – 이투뉴스 (e2news.com) 보석산 (daum.net) 필리핀 화산재 피해.. 동식물 모두 폐사 “섬으로 돌아갈 수 없어” – 조선일보 (chosun.com) 화산쇄물류 —-
영상출처 – Youtube.com ‘안전TV’
참고문헌 – ‘내 옆 선생님 완자 지구과학1’ – 비상, 이진우